• 오피니언
  • 사설

[사설] 세종시 인구 순이동, 이렇게 본다

  • 승인 2016-05-26 18:41

신문게재 2016-05-27 23면

세종시 인구 통계 추이에서 특징적인 것이 출산율 증가다. 젊은 부부 중심의 인구 유입과 출산장려정책에 힘입어 출산율이 전국에서 우뚝하다. 작년 합계출산율 1.90명에 이어 순풍을 탔다. 이에 비해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이동 인구는 주춤세다. 순이동 인구가 올 1월 4400명이던 것이 4월 1800여명로 반토막이 났다. 한 해 3만 3000여명이 유입된 2014년과도 대조를 보였다. 인구정책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통계청의 인구 통계를 보면 4월 세종시에는 4349명이 전입했고 2535명이 전출했다. 문제는 작년 같은 달의 절반에 불과한 수준이라는 점이다. 세종 신도시 지역의 입주 아파트 감소가 요인으로 꼽히지만 이는 인과관계의 오류일 수 있다. 수도권 인구 분산 기여 효과 등 복합적인 각도에서도 들여다보라는 뜻이다.

1/4분기 지역경제동향으로는 충청권의 인구 순이동은 1만 1017명이 유입됐다. 세부적으로는 세종과 충남만 인구가 늘고 대전과 충북은 인구가 유출됐다. 3000명 이상 유출된 대전은 세종시 빨대현상으로 인구 유출 차단에 고심하는 처지다. 자치구별로 세종시에 인접한 유성구를 제외하면 유출이 많다. 이 역시 균형발전적 시각에서 봐야 할 것 같다.

해방 이후 수도권 인구가 지방으로 순이동한 것은 2011년이 처음일 만큼 역사적이었다. 단순화해 보면 세종시와 혁신도시 10곳 건설과 같은 균형발전정책의 효과였다. 충청권은 중앙행정기관 이전 완료로 완성단계에 접어들면서 순이동률도 감소 추세를 보인다. 현재 서울을 빠져나간 인구는 같은 수도권인 경기도에 주로 정착한다. 작년 수도권에서 충청, 제주, 강원 등 전국에 순이동한 인구 3만여명으로 만족할 수 없다.

무엇보다 세종시 건설 초기에는 2020년까지 수도권 인구 200만명의 지방 분산 효과가 예측되기도 했다. 이 기간 중 경기도 인구가 121만 감소한다는 전망은 어긋나고 있다. 거꾸로 유출된 서울 인구가 경기도로 집중되는 양상이다. 5대 광역권 중 충청권 인구 유입이 많다고 만족할 수는 없다. 수도권끼리 순이동이 이뤄지는 동안, 세종시는 수도권보다 인근 충청권 인구를 더 흡수하는 중이다. 실효성 있는 수도권 인구 분산 정책을 주문하는 이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