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사설

[사설] 4차 산업혁명, 어떤 성장동력인가

  • 승인 2017-06-29 16:14

신문게재 2017-06-30 23면

4차 산업혁명이 새로운 성장동력이라는 데는 거의 이론이 없다. 각 지역의 비전과 대응전략도 4차 산업혁명 특별시 선포에서부터 실정에 맞는 신규사업 발굴에 이르기까지 활발하다. 하지만 생산제조 과정의 변화가 전 세계 산업계 판도를 흔든다는 의식은 다소 부족한 듯하다. 여건 변화를 선도할 역량과 정책 수단에서도 아직은 취약하다.

지역경제를 앞세우려면 제조업 혁신 정책은 보다 명확할 필요가 있다. 생산(Produce)과 소비(consume)가 합성된 시대(Prosume)에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금융법 등이 모두 똑똑해져야 한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이분법적 사고 틀도 벗어야 할지 모른다. 단순히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만을 뜻한다면 혁명이라는 말을 쓸 이유가 없다. 의미를 확장하면 인류사를 바꿀 거대한 파급력, 미래시장을 둘러싼 대충돌을 지칭하기도 한다.

다시 범주를 좁혀 생각하면 4차 산업혁명은 지역경제롤 해결할 미래산업의 모습이다. 중견·중소기업뿐 아니라 소상공인, 그리고 개인적인 영역에서도 준비해야 한다. 새 성장동력을 찾을수록 기존의 동력인 전통산업군들은 쇠퇴할 우려가 있다. 지역에는 제3차 산업혁명의 기준에도 이르지 못한 중소기업이 많다. 4차 산업혁명의 속도, 범위와 깊이, 시스템 충격의 측면에서 볼 때 걱정스러운 부분이다.

기업문화도 준비가 덜 돼 있다. 사람과 생산기지, 생산제품 등 각 생산구성요소의 연결, 제조업의 스마트화 등의 4차 산업혁명 마인드가 상당히 미약하다. 미래의 일자리 창출도 사물인터넷, 빅테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에 기반한 유망직종 발굴을 통해 이뤄질 수밖에 없다. 제조업과 산업정책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포용적 성장의 장으로 나가는 것은 제조업계 스스로의 몫이기도 하다.

대규모 제조업의 시대에 맞춰진 정부의 정책 기조 역시 옮겨져야 한다. 기업의 영역, 비즈니스 모델에 맞는 대응, 지식기반 자본 투자유치 등 각 부문에서 지자체의 대응은 막연하고 미숙하다. 다행히 우리에겐 정보화 혁명의 물결을 재빨리 수용해 디지털 혁명기를 선도한 경험이 있다. 때로는 뒤를 돌아보며 어떤 성장동력이며 어떤 방식으로 준비할지를 깊이 고민해야 한다. 앞장설지 뒤처질 것인지에 제조업의 미래가 걸려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