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 문화/출판

불편한 기억… 가려진 절반을 들추다

위안부의 실체 다른각도 해부 “편향 인식 바꿀때 과거사 청산” 일본군 아닌 업자가 포주역할… '적국' 여성들과는 다른대우

박수영 기자

박수영 기자

  • 승인 2013-08-14 13:34

신문게재 2013-08-15 11면

●'제국의 위안부'-박유하 지음

▲ 저자는 위안부의 '총체적인 모습'을 담지 않은 서울 일본대사관 앞의 위안부 소녀상은 실제 '위안부'일 수 없다고 말한다. 사진은 위안부 문제해결 청년기자회견에서의 소녀상 모습. 연합뉴스 DB
▲ 저자는 위안부의 '총체적인 모습'을 담지 않은 서울 일본대사관 앞의 위안부 소녀상은 실제 '위안부'일 수 없다고 말한다. 사진은 위안부 문제해결 청년기자회견에서의 소녀상 모습. 연합뉴스 DB

68주년 광복절을 앞두고 출간된, 일본군 위안부를 다룬 책 제국의 위안부는 한국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질까.

제국의 위안부는 그 청산의 큰 단초로 자리매김된 위안부의 실체를 일반의 인식과는 조금 다른 각도에서 해부해 눈길을 끈다. '식민지의 모순'을 가장 처절하게 살아낸 존재인 위안부. 저자인 박유하 세종대 일문과 교수는 위안부를 향해 고정된 민족주의적 시선이 위험하고 그 편향의 인식을 바꿀 때 오히려 과거사 청산과 동아시아 평화의 지름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저자가 일본 우익의 목소리에 동조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다만, 그 인권침해 범죄의 책임이 일본제국주의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식민지배와 가난, 가부장제, 국가주의의 복합적 산물임을 강조한다. 이 문제를 무조건 일본의 국가범죄와 배상으로 연결지어 위안부 할머니들을 영원한 볼모로 잡아 두는 짓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일민족주의를 넘어서'와 '화해를 위해서-교과서ㆍ위안부ㆍ야스쿠니ㆍ독도'라는 책을 쓴 저자는 한국에서 태어나 일본 게이오대와 와세다대 대학원에서 일문학을 전공했다. 한마디로 한국과 일본에 대한 이해가 깊다.

이같은 저자의 문제의식은 1990년 초 한일관계의 아킬레스건으로 떠오른 위안부 문제가 왜 20년이 지나도록 해결되지 못하고 오히려 악화일로로 치닫는가에서 출발한다. 한국인들은 이를 일본의 우경화 탓으로 돌린다. 하지만, 저자는 반대로 한국인들이 충분히 해결될 수 있던 문제를 키워 놨고, 이로 인해 일본 우익뿐 아니라 이 문제에 죄의식을 느끼던 일반 일본인까지 염증을 일으키게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1부에서는 '위안부'를 재구성하는 '기억의 투쟁'의 분석이 책의 제1부에서는, 국가의 세력 확장에 따라 위안부의 전신 '가라유키상'이 출현하는 근대 초기에서 시작해 조선인 여성이 '위안부'가 되기까지의 정황, 위안소 생활, 태평양전쟁 종식 이후의 귀환에 이르는 '조선인 위안부'들의 총체적인 모습이 증언집을 중심으로 재구성된다.

위안부 한 사람 한 사람의 증언-목소리를 있는 그대로 듣는 작업을 통해 클로즈업되는 것은 우선 소녀와 처녀들을 위안부로 데려간 주체로서의 업자나 포주다. 일본군이 '위안부'를 필요로 한 것은 맞지만 사기 등의 불법적 수단으로 '강제로 끌고 간' 주체는 일본군이 아니라 업자였다는 사실, 위안부의 '불행'을 만든 강간이나 폭행, 감시, 고문, 중절 등의 주체가 포주였다는 사실이 위안부의 증언을 통해 밝혀진다.

증언에서는, 일본군과의 관계에서 조선인 위안부의 위치는 일본에는 '적국'이었던 중국인 여성이나 네덜란드 여성과는 달랐다는 사실 또한 드러난다. 그렇게 다른 존재들을 똑같은 존재로 생각한 데에서 위안부 문제에 커다란 혼란이 생겨났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위안부의 '총체적인 모습'을 담지 않은 서울 일본대사관 앞의 위안부 소녀상은 실제 '위안부'일 수 없다는 사실도 치밀하게 분석된다.

제2부 이후에서는 '조선인 위안부'를 둘러싸고 어떤 새로운 '기억'의 투쟁이 펼쳐졌는지와 함께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는 일본의 '사죄와 보상'을 둘러싼 갈등에 대한 분석과 제언이 이루어진다. 지원단체의 요구인 '입법 해결' 대신 한일 양국에 함께 제시하는 대안은, 이 문제를 도덕적 규범에 반하는 '죄'와 '법'을 위반한 '범죄'를 구별해서 묻는 것이다. 독일의 사죄도 '법적 책임'이 아닌 '도의적 책임'을 진 것이었다는 지적은 시사적이다.

지은이가 제안하는 '식민지배의 기억을 온전하게 바라보는 일'은 오로지 독자의 용기와 자부심에 달려 있다. 어쨌든 분명한 것은 '기억의 투쟁'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서는 그 근원을 들여다보아야 한다는 점이다. 위안부 할머니들을 그만 '현실 정치에서 놓아주고 그들의 온전한 기억을 찾아주어 국가에 이용당하지 않게 해야' 한다는 저자의 말은 그 근원에 다가가는 길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또 하나의 탈식민주의적 사고를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책표지의 기모노 여성이 '반쪽'으로 나뉘어 있는 것은 일본인의 모습을 해야 했으되 결코 일본인일 수 없었던 조선인 위안부를 상징하는 듯하다. 나아가 현대에 이르러서도 조선인 위안부들의 체험이 온전히 전달되지 못하고 반쪽만 전달되었다는 상황을 보여주는 듯도 하다. 어떻든 그렇게 각각 다른 반쪽만 보는 한 어떤 관계도 접점을 찾을 수 없다는 건 분명하다. 저자의 이런 도발적 주장에 수긍하기란 분명 쉽지 않다. 하지만 해방 68년, 고령의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해서도, 제국과 냉전이 남긴 문제들을 넘어 새로운 동아시아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라도, 일본만 매섭게 노려봐 온 우리 자신의 모습도 한 번쯤 거울에 비춰볼 때도 되지 않았을까.

박유하 지음/뿌리와이파리/328쪽/1만 8000원.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