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오늘과내일

[오늘과 내일] 세상을 이끄는 힘, '교육' 그리고 '가족'

박윤옥 전 국회의원

강우성 기자

강우성 기자

  • 승인 2018-01-14 06:04
552E5807-- (2)
박윤옥 전 국회의원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능금리에는 조선 중기(영조 48년)에 세워진 ‘지선당’이라는 재각이 있다.

수백년의 시간을 누구와라도 나누겠다는 듯 담장도 없이 마을 뒷산 명덕봉 아래 고즈넉이 자리잡은 지선당. 지선당은 조선 중기에 박지영(호: 덕은당)이 지은 학당이다.

임진왜란을 피해 금산에서 진안으로 내려와 살던 박지영은 그가 살던 마을에 교육을 위한 학당을 지었다. 전쟁 중, 가장 나라가 피폐했을 그때, 언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던 그 시절에 박지영은 교육기관을 세운 것이다. 오직 교육만이 나라의 위태로움을 구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전란중 학당을 짓고 후진 양성에 힘쓴 박지영. 나라가 위태로울 때 가장 힘이 되는 것이 교육이라는 것을 실천한 그 학당에서는 후대 다섯 명의 진사가 배출되었다.



위기의 시대, 교육의 가치를 피력한 대표적 인물은 바로 정약용이다.

500권이 넘는 저서를 남긴 걸어다니는 출판사, 한국의 다빈치, 조선 최고의 지식인 등 대한민국 사람으로 정약용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만큼 정약용은 우리 역사를 대표하는 지식인이다.

정약용의 기록. 그 천재적 저작들 가운데서 가장 내 마음을 잡아 끄는 것은 '하피첩'이다.

625전쟁때 분실되었다가 2004년, 수원 폐지 줍는 할머니의 손수레에서 발견돼 그때부터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보관했다는 정약용의 저서 하피첩. 강진으로 유배간지 7년이 되던 해에 다산은 그 부인 홍혜완으로부터 시집올 때 입었던 다홍치마 다섯 폭을 전해 받는다. 다산은 그 치마를 네첩으로 만들어 두 아들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그 안에 써내려갔고, 짙은 다홍빛이 세월에 바래 노을빛이 되었다고 해서 '노을 하(霞)' 자를 붙여 하피첩이라 했다.

“병든 처가 낡은 치마를 보내/ 천리 밖에 그리워하는 마음을 부쳤는데/오랜 세월에 홍색이 이미 바랜 것 보니/서글피 노쇠하였다는 생각이 드네/잘라서 작은 서첩을 만들어/ 그나마 아들들을 타이르는 글귀를 쓰니/ 어머니, 아버지를 생각하여/ 평생 가슴속에 새기기를 기대하노라.”

이런 서문으로 시작된 하피첩에는 폐족의 자식이지만 어머니를 공경하며 화목하게 살아갈 것을 당부하고, 친척과의 관계는 어떠해야 하는지, 친구는 어떻게 사귀어야 하는지에 대한 가르침, 근검한 생활과 꾸준한 공부에 대한 당부가 들어있다. 자식이 바른길을 살아가길 바라며 어머니의 치마에 아버지가 써내려간 간절함은 다산의 그 어떤 천재적 작품보다 따뜻한 인간미를 담고 있으니, 그 이유는 그 안에 ‘가족’이 있어서일 것이다 .

멀리 유배지에서 나라의 안위를 걱정하며 수많은 교육서를 쏟아내는 동안, 그 외로움과 고단함이야 이루 말할 수 없었을 것이다. 조선의 천재, 정약용, 그를 만들어낸 것은 아마도 멀리서도 자신을 바라보며 따르고 응원하는 가족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200년이 지난 지금에도 다산은 우리 역사상 최고의 학자로 인정받고 있다. 실학을 통해 나라의 힘을 키우고자 했던 학자, 유배지에서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후대 백성들과 관리들을 교육할 수 있는 지침서를 남기는 것 뿐이었다. 물론, 안타깝게도 그 500권의 저서들은 그 당시 정세속에서는 아무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었다. 정약용 역시 죄인 신분으로서 본인의 저서들이 당대에 쓰임을 받게 될 것이라는 기대는 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지금으로쳐도 웬만한 소규모 출판사에 버금가는 책을 남겼다. 아마도, 당장은 아니더라도, 그 후대에서 그의 책이 나라를 강하게 만들고 백성을 평안하게 만드는 지침이 되길 간절히 바랐을 것이다. 즉, 나라의 위기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교육’이라는 것을 유배지에서 보여준 것이다. 개인의 삶에서 가장 가치있는 것이 "가족"이라는 의미와 함께 말이다.

박지영과 정약용이 남긴 교육과 가족의 의미가 새삼 엄중하게 다가온다.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데에 가족공동체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우리는 수많은 뉴스들을 통해 실감해왔다. 경제적 성장을 목표로 달려오는 동안 사회적 시스템과 교육에서 ‘진정한 가족의 가치’, ‘공동체의 가치‘는 개인의 몫으로 치부되며 빛바래져갔고, 그러는 사이 우리 사회는 "낳고 키우는 일이 즐겁지 않은, 오히려 부담이 되는 사회"가 되어버렸다,

국가적 위기인 저출산 문제에서 출산과 육아에 대한 경제적 지원보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간과했었던 가족의 가치, 공동체의 가치를 확산하는 것이다. 즉 가족친화적 가치관을 확산하기 위한 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