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사설

[사설]라돈 침대, 라돈 공포 이대로 둘 수 없다

최충식 기자

최충식 기자

  • 승인 2018-05-20 20:13
  • 수정 2018-05-25 13:00

신문게재 2018-05-21 23면

라돈 침대 사태가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집단 소송이 예고된 가운데 21일 국회에서는 라돈 침대 피해 문제 해결을 위한 간담회가 열린다. 희토류 광물인 모나자이트를 함유해 음이온이 발생한다는 침대에서 폐암 등을 유발하는 1급 발암물질 라돈이 나온 사태의 파장은 간단치 않다. 시료 범위의 적절성을 놓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미숙한 대처도 거듭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국무조정실 산하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의 현안 점검회의에서 '국가적 재난 수준'으로 라돈 침대 문제를 규정한 것은 그 심각성을 말해준다. 피폭선량의 질병 유발 영향과 상관성은 더 깊이 입증해볼 사안이지만 국내 폐암 사망자의 12.6%가 실내 라돈으로 숨졌다는 추정만 갖고도 놀랍다. 가공제품의 라돈 피폭선량 관리와 모나자이트 유통 실태 조사가 총체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 같다.



지금의 음이온 공포, 라돈 포비아는 그럴 만한 근거가 상당하다. 기준이 허술해 유사한 피해가 생활 전반의 음이온 제품에서 언제든 발생할 개연성 때문이다. 동일 원료 사용 제품이 아니라도 불신의 대상이다. 생리대, 속옷,
라돈침대
소금, 화장품, 팔찌, 정수기 등 18만개 음이온 제품 전반의 실태 파악 또한 피할 수 없게 됐다. 지속적인 내부 피폭 연구를 토대로 방사성 물질 성분표시제, 사전 안전기준 검사제, 공산품 품질 표시 의무화 등 신뢰가 가는 가이드라인을 세워야 하겠다.

이번 사태는 친환경 매트리스 인증 마크만 믿고 쓴 소비자를 배신한 전형적인 사례다. 가습기 살균제와 석면 베이비 파우더 사건, 라돈 침대 다음엔 어떤 생활밀착형 제품이 체내로 유입돼 우리 생명을 위협할지 모른다. 국민적 불안과 불신을 잠재울 가장 빠른 방법은 범정부 차원의 완벽한 대처다. 의류, 음식물, 화장품 등에 침대가 포함돼 방사성 물질이 의식주 전반을 위협하는 상황을 엄중히 볼 필요가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