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 영화/비디오

[김선생의 시네레터] 진실의 창과 고독한 실존

- 영화 <퍼스트 맨>

한윤창 기자

한윤창 기자

  • 승인 2018-10-25 15:55

신문게재 2018-10-26 9면

movie_image[3]
멀리 달이 보입니다. 문이 열리고 사람이 내립니다. 첫 발을 내딛습니다. "한 사람에게는 작은 발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큰 도약이다."라고 한 바로 그 장면입니다. 달이 먼 만큼 달에 내린 사람 역시 멉니다. 1969년 위성 중계 흑백 화면으로 본 한국 사람들에게는 달도, 미국도, 달에 착륙한 첫 걸음도 여전히 멀고 먼 상상계의 일이지 않았을까요?

<퍼스트 맨>은 달에 착륙한 첫 걸음의 주인공 닐 암스트롱 이야기입니다. 아내와 아이들이 함께 하는 개인사와 우주 비행사로서의 공적 임무 사이에 그는 있습니다. 당연하게도 그는 아내와 아이들에게서 출발하여 훈련과 비행과 달 착륙을 거쳐 다시 가정으로 돌아옵니다. 그에게 가정은 구심력의 축입니다. 달은 멀리 가 보려는 원심력의 목표입니다. 둘 사이에서 그는 고뇌합니다. 환상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영화는 닐 암스트롱의 상황과 심리를 따라갑니다. 카메라 역시 그의 시점에 서 있습니다. 그러므로 관객들도 비행 훈련, 상하좌우로 흔들리는 회전 훈련, 그리고 마침내 로켓을 타고 달을 향하는 모든 상황을 그와 함께 가까이서 경험합니다. 이른바 '고요의 바다'를 월행(月行, moon walk)하는 신비롭고 적막한 장면과 확연히 다릅니다. 이처럼 이 작품은 결과가 아니라 닐과 가족, 그의 동료들이 겪어낸 과정을 비중 있게 그려냅니다. 또한 영화는 멀리서 바라보는 익스트림 롱 숏이 아니라 오히려 익스트림 클로즈업 숏을 통해 심리적 압박과 긴장을 밀도 있게 담아냅니다.

거리를 두고 보는 것을 객관적이라 합니다. 하지만 객관이 꼭 진실을 담보하는 것은 아닙니다. 영화는 달 착륙 프로젝트가 냉전체제 속 소련과의 경쟁, 68혁명과 반전 시위에 대한 정치적 돌파구였음을 보여줍니다. 영화를 통해 드러난 진실은 닐 암스트롱에게도 그러합니다. 그는 위대한 영웅이 아닙니다. 아울러 그는 꿈의 대리인도 아닙니다. 죽어간 동료들을 대신해 피할 수 없는 운명을 받아들인 고독한 실존입니다.

첫 장면과 끝 장면은 수미상응입니다. 비행 훈련하는 닐의 눈앞에 창이 있습니다. 헬멧에도 투명한 창이 있습니다. 가까이 갈 뿐이고, 가까이 바라볼 뿐입니다. 외부는 위험합니다. 달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는 달의 중력을 경험했을 뿐입니다. 돌아온 그는 감염 검역 탓에 아내를 창밖으로 만납니다. 이쪽(구심력)과 저쪽(원심력)을 향한 창을 경계로 그는 외롭게 흔들립니다. 상황이 다를 뿐 우리 역시 매양 그러한가 합니다.

- 김대중(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aaIMG_9986-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