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우난순의 필톡

[우난순의 필톡] 과로사 집배원 또 보고 싶지 않다

우난순 기자

우난순 기자

  • 승인 2019-07-03 11:10

신문게재 2019-07-04 22면

우체부
지금은 명칭이 집배원이지만 예전엔 우체부라 불렸다. 부르릉 오토바이 소리가 들리면 개가 컹 짖는다. 그리고 어김없이 우체부가 신문을 들고 마당에 들어선다. 지금은 어떤 지 모르겠지만 시골은 예전엔 신문도 우체부가 배달했다. 하루 늦은 '구문'이지만 우체부는 대학 휴학하고 시골에서 한량처럼 시간이나 죽이는 내게 세상과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메신저였다. 친구의 편지를 전해줄 땐 더 반가웠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매일매일 세상과 친구의 소식을 전해주던 사람. 우체부는 영화 '일 포스티노'의 우체부 마리오처럼 시는 쓰지 않았지만 낭만적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직업군이었다.

그런데 말이다. 우체부, 아니 집배원이 지금 픽픽 쓰러져 과로사하는 지경이다. 올해만 6월까지 전국 9명으로 충남은 3명이나 된다. 동천안, 공주, 당진우체국에서 벌어진 일이다. 왜 유독 집배원들이 과로사할까. 사고사도 아닌 과로사여서 도대체 집배원들의 업무 강도가 얼마나 심한 지 궁금해 집배원들과 전화로 인터뷰했다. 당진우체국 집배원 A씨는 "예전엔 우편물만 배달했지만 지금은 택배도 하잖나. 특히 지방은 업무량이 굉장하다. 대도시는 우편물 자동구분기가 있다. 우리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류하기 때문에 시간도 많이 걸리고 힘들다." 지난달 19일 자택에서 숨진 동료 강모씨와 친하게 지냈다는 A씨는 한숨을 쉬며 자신들의 하루 일과를 직접 와서 봤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대도시와 소도시의 또다른 차이점도 있다. 대도시에선 일반위탁택배원을 채용한다. 지방과 달리 대도시 집배원은 우편물만 배달하면 된다는 사실이다. 과로사 집배원이 왜 지방에서만 나오는 지 의문점이 풀렸다. A씨는 당진을 예로 들면서 부연설명을 했다. "인구수가 적은 시골은 물량이 많지 않아 그나마 수월하다. 하지만 당진같은 지역은 인구도 많고 지역이 넓은 특수성 때문에 물량이 많고 배달 시간도 많이 걸린다. 결원이 발생하거나 아프면 나머지 인력이 다 처리하기 때문에 아파도 쉴 수 없다. 악순환이다." 또다른 집배원 B씨는 먼저 인력 평준화가 해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력이 남는 지역에서 결원이 생긴 지역에 인력을 넘겨줘야 한다. 그런데 집배원은 기능직이어서 그 문제를 노조에서 결정한다. 어떤 노조가 자기네 인력을 주겠나. 적절한 인력배치 문제는 우정사업본부가 나서야 한다."



집배원들의 잇단 과로사의 원인은 열악한 노동조건이다. 이들의 연간 노동시간은 2745시간이다. 한국 임금노동자 평균 2052시간보다 700시간이 많다. 집배원의 직무스트레스는 소방관보다 높다. 과로사는 오랫동안 피로가 누적돼 불시에 심뇌혈관 질환, 자살 등으로 나타난다. 행복하려고 일을 하는데 도대체 왜 일을 할수록 불행해지는가? 19세기 산업혁명은 기계화로 인한 대량생산을 가능케 했고 더불어 노동 시간도 길어졌다. 4차산업혁명이 결코 장밋빛으로 보여지지 않는 까닭이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는 모든 땀구멍과 털구멍에서 피와 오물을 흘리며 태어난다"고 했다. 모골이 송연해진다.

초원의 제왕 사자는 배가 고플 때만 사냥한다. 나머지 시간은 그늘 아래서 늘어지게 자거나 무리들과 한가롭게 논다. 사자는 배가 부르면 먹잇감이 앞에 있어도 건드리지 않는다. 그런데 인간은 욕망이라는 불치병이 있다. 이 욕망이란 요물은 가지면 가질수록 더 갖고 싶어지는 심리다. 자본주의는 기업이 성공하면 노동자도 잘 살게 된다는 논리다. 이른바 '낙수효과'다. 그런데 현실은 어떤가. 자본가만 더 부유해질 뿐 노동자는 굴러떨어지는 바위를 끊임없이 올리는 시지프스와 같은 신세가 됐다. 결국 전국우정노조는 총파업을 선언했다. 노사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오는 9일 파업에 돌입한다. 우정 역사상 첫 파업이다.

<우난순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