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 문화 일반

대전시립극단 운영방향 제3의 길 없나

단원중심제와 작품중심제 긍부정 이견 팽팽
비상임제, 시즌제, 전문계약직 등 대안 제시

이해미 기자

이해미 기자

  • 승인 2019-08-21 08:15

신문게재 2019-08-21 6면

1126158004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대전시립극단 설립 논의가 진행된 지 1년 가량이 지났지만, 운영 방향이 모호한 탓에 시립극단 창단이 당초 계획보다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연극계는 "연극을 제외한 모든 장르의 예술단은 80년대 창단됐다. 이에 비하면 시립극단이 늦어진 것은 맞다"며 "하루빨리 중지를 모아 설립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필요성 만큼은 합의를 이룬 상태다.

하지만 단원중심제와 작품중심제 등 운영 방향은 정해지지 않았다. 대전시가 지난해 '작품중심제'로 가닥을 잡았지만, 거듭되는 공청회와 토론회에서 연극계의 입장 차가 확인되자 여론수렴을 충분히 하겠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지난 16일 3차 토론회에서도 단원과 작품중심제에 대한 이견이 팽팽했던 만큼 시가 신중한 결정을 내릴 시점이라는 지적이다.

전국 8개 특·광역시 가운데 시립극단이 없는 곳은 세종을 제외하고 대전과 울산이 유일하다. 9개 도에서는 충남과 충북, 경남, 제주 가운데 충북을 제외하고 현재 논의 중에 있다.

시립극단이 있는 광역시 가운데 작품중심인 광주를 제외하고는 모두 단원중심제로 운영 중이다. 단원중심제는 운영 단원을 상임으로 두는 형태다.

유치벽 전 대전연극협회장은 지난 16일 "단원중심제로 갈 경우 상임단원들이 철밥통이 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며 반대했다. 이어 "작품중심제로 동기부여를 확실히 해주고, 기존 극단과 MOU를 맺어 지역 연극계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한선덕 극단 새벽 대표는 "예술감독과 사무단원만 정규직이고 행위를 하는 연극인은 비규정직인 작품중심제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단원 1명이라도 상임단원으로 출발하고 차차 늘려가야 한다. 대전 연극계 70%가 전공자다. 이들이 타지역으로 가지 않고 연극을 하니까 정규직 일자리가 생긴다는 동기부여를 해줘야 한다"고 단원중심제를 지지했다.

이상호 대전민예총 회원은 대전만의 새로운 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이 회원은 "타 시도에서 운영하고 있지만 단원이나 작품중심제는 대전시립극단을 위한 대안이 아니다. 민간극단 단원을 비상임 단원으로 기용하고, 시즌제로 작품에 참여할 수 있는 제3의 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창단과 정착과정을 이뤄낸 강원도립극단 선욱현 전 예술감독은 순환형에 초점을 맞췄다.

선 감독은 "배우가 철밥통에 안주하는 표현은 죄송스럽지만, 반대다. 6년 차에 접어든 도립극단은 연극협회와 협약을 맺었다. 수년 만에 나온 고육지책"이라 말했고, 윤진영 대전연극협회원은 "5년마다 재계약을 하는 전문계약직 형태는 어떨까. 기간이 지나면 나가고 기량이 좋은 단원은 다시 채용하는 방식도 고민해 보자"고 말했다.

대전시는 지금까지의 토론회와 공청회 결과를 가지고 대전시립극단에 적합한 대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16일 토론회에서 나온 여러가지 방안을 놓고 대전에 맞도록 시도를 해 볼 것"이라며 "차후 필요하다면 공청회와 토론회를 다시 열고 중지를 모으겠다"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