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 문예공론

[문예공론] 산수(傘壽)를 넘어 서니

채홍정/ 수필가, 시인

김의화 기자

김의화 기자

  • 승인 2019-08-22 09:26
지나온 날들 돌아보면 험난했던 고난의 세월이 떠오른다. 지금은 무심한 세월의 파도에 밀려 주변의 가까운 지인(知人)들은 하나둘씩 불귀(不歸)의 객(客)으로 순서 없이 사라져 가고, 눈은 어두워지고, 귀는 멀어지고, 치아는 성한대가 없고, 다리는 관절로 쑤시고, 어깨도 결리고, 정신은 깜박거리는 황혼 길이 한참이다.

그래도 지금까지 힘든 세월 용하게 견디며, 자식들 그런대로 길러 부모 노릇 어느 정도 하며 여기까지 왔다. 이제는 더 바랄 것도 없다. 남은 세월 후회 없이 살다 가야 할 터인데 하고 생각한다.

나이 80 문턱에 올라와보니, 친구는 나날이 줄어가고, 우편으로 전해오는 것은 광고지뿐이고, 걸려오는 전화는 "전화기를 바꾸라 노인보험에 들라"라는 등 알아듣기도 힘든 아가씨의 속사포가 귓전을 울려주니 정작 기다리는 친구나 지인의 안부전화는 줄어들기 마련이다. 망구(望九)의 길에는 여기저기 迷宮(미궁)의 陷井(함정)이 놓여있으니, 언제나 빠질 수 있는 한 치 앞도 안 보이는 앞길이 남아 있다. 어느 날 갑자기 소리 없이 훌쩍 떠날 적에 아무것도 가져갈 수 없는 빈손이요. 동행해 줄 사람 하나 없는 외로운 길이 보인다.



"당신이 있어 나는 참 행복합니다"라고 진심으로 얘기할 수 있는 소중한 친구 있으면 자주 만나 같이 걸으면서 담소하고, 때가 되면 소찬에 소주 한 잔 걸치며, 보내는 붉게 물든 황혼의 인생도 아름답지 아니한가? 남은 인생 건강하게 남의 도움 없이 살다 가야할 터인데.... ,

"긴 병에 효자가 없다"는 말이 있다. 부모의 병이라도 오랫동안 병시중을 하노라면, 소홀히 대할 적이 있게 된다는 말이다. 요즘 회자(膾炙)되는 말 중에 100세 시대라는 말 자주 듣게 된다. 그러나 그 말은 보험회사의 광고용 단어로 인용하는 것은 몰라도 우리네 80대들에게는 그리 달가운 단어는 아니다. 우리나라 2019년 노인인구가 14.4%가 되어 '고령사회'로 진입되어 있을 것이 사실이다.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비책은 무엇일까?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 더 오래 산다는 것은 축복받을 일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다.

준비되지 않은 노후는 개인과 가족, 국가경제에 큰 부담이 된다. 특히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노인의료비 지출에 대한 국가적 부담도 계속 가중되고 있다. 의료비 절감의 해법은 바로 건강하게 병치례 없이 사는 것인데, 실제 통계에 의하면, 100세까지 사는 노인은 0.2-0.4%정도이다 서울대학 합격하기보다 더 어렵다는 통계수치이다.

인명은 재천이라고 운동을 하고 잘 먹고, 잘 지낸다고 해서 100세까지 사는 것은 아니다. 사는 동안 열심히 사는 것이 건강하게 사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지만. 아무리 열심히 오래 살려고 해도 몹쓸 병에 걸리면 어쩔 도리가 없다. 돈이 많다고 해서 오래 사는 것도 아니고, 운동을 많이 한다고 해서 오래 사는 것도 아니다.

사는 동안 자기 몸을 잘 관리하면, 몇 해 더 사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인간이란 잘 사는 만큼 죽는 것도 남 보기 싫지 않게 마무리를 깨끗이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죽음(考終命)도 오복의 하나이다.

얼마 전, 경북 청송에 사는 88세(米壽) 할아버지가 치매를 앓고 있는 83세의 아내를 승용차에 태우고 마을 저수지에 차를 몰아 동반 자살을 했다. 그분은 경북 최대의 사과농사에, 자식도 같이 살았다. 그런 그가 왜, 자살을 했을까? 만약 자신이 아내보다 먼저 죽으면, 병든 아내의 수발을 자식에게 맡길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가 남긴 유서를 읽어 봐도 얼마나 가슴이 아프고 슬픈 결심을 했는지 알 수 있다. 그는 유서에 이렇게 썼다. '미안하다. 너무 힘이 든다. 다시 못 본다고 생각하니 섭섭하다. 내가 죽고 나면, 너희 어머니가 요양원에 가야 하니 내가 운전할 수 있을 때 같이 가기로 했다'라고 적었다 (88세에 운전을 하셨다니 본인 건강은 비교적 양호했든 듯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식과 손자들 이름을 적으며 작별 인사를 남겼다. 이 할아버지는 자살만이 자신이 택할 수 있는 가장 행복한 길이라고 판단을 한 것 같다. 그런 결심을 하기엔 하루, 이틀 생각하고 내린 판단은 아닐 것이다. 노부부의 비극을 뉴스에 들으면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그것이 결코 남의 일로만 생각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6월 어느 날 쟁기봉회(복수동 문인 모임)가 있어 걸어가자니 시간에 쫓길 것 같아 자전거로 약 800m 지나니 갑작스러운 소나기에 한 손에 우산을 받쳐 들고 내리막을 달리는데, 앞에서 우산도 없이 속수무책으로 소나기를 노다지 맞으며, 고개를 푹 숙인 체 오는 이를 피하다가 그만 나뒹굴고 말았다. 우산은 산산조각에, 자전거는 저만치 나가떨어지고, 이마엔 피가 쉴 사이 없이 소낙비와 함께 흘러 주체치 못해 황급히 집으로 올 수밖에 없었다.

무조건 화장실로 들어가 이마에 흐르는 피를 응급 지혈시키며 보니, 몰골이 가관이었다. 왼쪽 팔과 다리가 피투성이에 상처가 보통이 아니었다. 이일로 하여 3일을 방 안에서 꼼짝 않고 있어야 했다. 뼈엔 아무 이상 없는 것 같은데, 몸을 제대로 움직일 수 없이 아팠다. 만약에 어느 부위가 절골되었거나, 혹여 소나기를 노다지 맞으며 오던 이가 나로 하여 다쳤다면, 생각만 해도 큼직한 일이다. 자식에게 큰 짐이 된다는 생각에, 살 만큼 살았으니 더 살지 않아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자식에게 힘든 일을 맡겨주는 것도 비겁할 것 같았다.

그래서 마음을 다시 다잡고 털고 일어나 3일 만에 병원에 갔다. 나이가 들수록 작은 일에도 상심하고, 눈물이 많아지고, 비관적인 생각을 하게 되는지도 모른다. 사는 날까지 마음의 평정과 몸 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나머지 부분은 천명에 맡기는 것이 이 나이에 할 도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오복(五福)

1,수(壽) : 오래 사는 것

2,부(富) : 부자(富者)가 되는 것

3,강녕(康寧) : 건강한 것, 즉, 강(康)은 육체적 건강, 녕(寧) : 정신적 건강,

4,유호덕(攸好德) : 훌륭한 덕을 닦는 것,

5,고종명(考終命) : 천수(天壽)를 다 하는 것으로, 질병 없이 살다가 편안하게 일생을 마치는 것.



채홍정/ 수필가, 시인

채홍정
필자 채홍정(수필가, 시인)씨는 '익은말 큰사전'의 저자이다.

익은 말 큰사전은 우리 민족이 예로부터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순 우리말 어휘를 엮어, 공무원 채용 응시생, 대입 준비생, 문인, 작가들에게 도움이 된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오늘의 문학사 간, 정가 3만5000원, 전국 서점에서 절찬리에 판매 중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