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시사오디세이

[시사오디세이]폴리페서에 대한 소고(小考)

서준원 정치학 박사

윤희진 기자

윤희진 기자

  • 승인 2019-08-26 08:37
서준원사진(2)
서준원 박사
독일 유학 시절의 일이다. 어느 정치학 전공 교수가 연구차 필자가 공부하던 대학에 왔다. 명저를 남긴 저자이며 정치학 교수이고, 필자와 전공이 같은 탓에 더 반가웠다.

해당 교수는 모교에서도 정치권에서 나오면 꼭 돌아와 주길 기대할 만큼 학문적·인격적으로 인정받는 분이었다. 어느 날 권총을 찬 군인들이 연구실로 찾아와 ‘나라를 위해 일 좀 해달라’는 강권을 이기지 못해 억지로 이끌려 나온 분이다. 그러나 일부 운동권 학생들의 강한 반대 탓에, 안타깝게도 모교로 돌아가지 못했다.

좁은 기숙사 방에서 온종일 독서와 글쓰기에 전념하는 그 교수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조리하기도 편하고 시간이 아까워서 늘 국수로 끼니를 채우다시피 지냈다. 안타까움에 집으로 모셔서 우리 음식을 내드리곤 했지만, 필자에게 그 교수는 부정적 의미의 ‘폴리페서’가 아닌 진정한 학자로서의 귀감이었다.



어느 날 청와대에서 부른다고 고심을 하길래, 독일 교수들의 사례를 들어 학자가 국가와 공동체를 위해 기여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라고 거들었다. 결국은 청와대에서 국정을 챙겼다. 대통령 비서실장과 회의를 하면 마치 학회에서 하듯이 가감 없는 토론이 펼쳐졌다고 한다.

1980년대는 정치환경이 암울했지만, 능력 있고 반듯한 교수 출신들이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정치권에 몸담고 있었다. 이때는 어용교수라고 비난을 받았지만, 그래도 실력과 인품, 그리고 일 처리는 물론 학자로서의 소신이 돋보였고 국정에 큰 공헌을 했다고 본다.

기실, 교수들의 정치 참여나 공동체를 위한 기여는 바람직한 일이다. 학문으로 연마한 실력을 국정을 위해 쏟는다고 손가락질을 당해야만 할까. 배움과 연구는 다수를 위해 쓰임이 닿아야 한다.

독일의 경우 대학교수가 전문성을 인정받아 장관직으로 가는 사례가 허다하다. 국가에 봉사하고 대학으로 다시 돌아오는 경우는 금의환향으로 인식하기도 한다. 학문의 깊이는 물론 전문성과 함께 인품과 인격이 인정받기에 가능한 일인 것이다.

무엇보다도 철저하게 무장된 윤리의식과 책임감이 돋보인다. 국가와 국민을 위한 헌신적 열정이 평가받고 있어 지금도 교수들의 정치권 진입은 자연스런 현상으로 수용되고 있다. 대학으로 되돌아온 교수들은 1년 또는 한 학기 정도는 강의하지 않는다. 그간에 소홀했던 학문적 연구를 가다듬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경우 정치의 후진성 탓인지 폴리페서에 대한 인식도 안 좋고 게다가 멸시와 냉소적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권력지향적인 교수들이 그간에 지나치게 난장판을 친 탓이다.

특히 대통령 선거 때만 되면 정당들은 싱크탱크를 빌미로 교수들을 대거 불러들이고, 일부 교수들 역시 줄을 대서 연을 이어가려고 아우성이다. 정치권의 유혹에 언제부턴가 오로지 벼락출세와 권력지향적인 욕망이 솟구친 것이다.

몰지각한 폴리페서들은 정치성향도 자주 바뀌고 정책에 대한 소신도 매우 취약하다. 게다가 이들은 윤리의식과 책임감마저 턱없이 부족하고 학자로서의 소신과 가치관마저 불투명하다.

대학교수 직위나 학문은 벼슬을 쟁취하기 위한 방편이 아니다. 폴리페서는 국가와 국민을 위한 헌신적 봉사와 책임을 지고 일할 기회를 얻는 선택된 자들이다. 그러기에 자긍심을 지녀야 마땅하다.

연일 조국 교수 사태가 시끄럽다. 청문회가 열리기도 전에 쏟아져 나오는 우울한 소식들이 참 불편하다. 학자로서의 자존감과 공직자로서의 책임과 윤리의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거센 비난이 분출되고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진퇴유곡으로 빠져드니 보기에도 안타깝다. 때로는 학자에겐 명예와 양심이 그 무엇보다 중하다. 조 교수가 진정한 교수이자 폴리페서라면 기성 정치인과 공직자보다 더 엄격한 잣대로 자신을 되돌아보길 권고한다.

서준원 정치학 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