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명연기자와 무대

양동길 / 시인, 수필가

김의화 기자

김의화 기자

  • 승인 2019-10-18 00:00
학창시절 연극 몇 작품에 출연한 일이 있다. 첫 번째 출연부터 특별한 역할로 박수무당 역이었다. 말 그대로 특별 출연이다. 굿 장단을 칠 수 있고, 비나리를 흉내 낼 수 있어 별도 연습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에 캐스팅된 것이다. 굿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대사 몇 마디 하는 것이 전부였다. 필자 역할은 그래도 큰 것이었다. 어떤 친구는 나팔 부는 흉내로, 입에 손 모아 소리 한번 지르고 들어가는 것이 전부였다. 하지만, 기본을 익히고 연극의 매력에 흠뻑 빠지는 소중한 기회였다. 아무리 작은 역이라도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그것들이 모여 하나의 작품이 된다는 사실에, 배역이 미미한 배우도 항상 함께하였다. 두 번 살 수 없는 인생이다. 다른 삶을 몸으로 구현하고, 음미해본다는 것도 가치 있는 일이었다.

연극 종류는 다양하다. 희곡작품도 그렇고, 배우, 관객, 무대 등 모두 결이 다르다. 각 요소의 유형과 비중에 따라 달리 부르기도 한다. 뮤지컬, 탈춤을 포함한 무용극 등이 그것이다. 그런가 하면 조명, 영상, 음악, 미술, 무용 등 여타 예술 분야와 어우러져 공연되기에 집단 예술 또는 종합예술이라 부르기도 한다.

희곡 자체가 문학 분야로 분류되지만, 운문이나 시 낭송 중심 연극을 시극이라 따로 부르기도 한다. 근자에 시극 여러 편에 참여하여 예술 감독을 담당하였다. 자청한 일이기도 하다. 뒤치다꺼리하면서 시극을 좀 더 특별한 종합예술로 만들어 보고 싶은 욕심이 크게 작용했다.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특화된 무대예술로 성장시켜 보고 싶은 마음이다.



아직 초보적 단계라 생각한다. 희곡 자체도 운문으로 써야 하겠고, 그에 맞는 음악이나 무용도 창작되었으면 한다. 영상, 음향, 조명 등도 마찬가지다. 실력 없는 목수가 연장 탓하는 격이지만, 희망 사항을 구현할 무대나 장비가 지역에 없다는 것도 안타까운 일이다.

인생이 한편의 역극과 같다거나, 인생은 연극이라는 말이 있다. 세상은 신이 만들어 놓은 거대한 극장이요, 사람은 제각각 맡은바 배역을 한다고 보는 것이다.

16세기 유럽에 '코메디아 델라르테(commedia dell'arte)'라는 연극 형태가 등장한다. 이전에는 취미로 연극을 하였지만, 프로 연극인도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델라르트는 극본이 없다. 즉흥 연기를 한다. 의상이나 가면 같은 분장에 비중을 두었다. 어떤 옷을 입었는지가 어떤 캐릭터인지 알려 준다. 탈춤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항상 가면이나 의상이 정해져 있는 것과 같다. 자주 등장하는 캐릭터가 할리퀸과 피에로, 스카라무슈와 메제티노였다고 한다. 대본이 없었던 것은 통일된 언어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몸짓이나 슬랩스틱에 더 비중을 두었다. 흐름만 있고 정해진 대본이 없는 것이다. 인생은 델라르테와 같지 않을까? 인생은 각본 없는 연극이다.

줄거리가 있는 연극도, 대본이나 연출자의 연출대로 움직이는 것으로 보이나 꼭 그렇지만은 않다. 배역에 충실해야 하지만, 그것은 기본적 흐름에 불과하다. 궁극적으로 자기만이 해낼 수 있는 역할 소화를 해내야 뛰어난 명배우가 된다.

인생은 연극보다 선택의 여지가 더 크다. 개성 있는 연극에 앞서 배역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재미있고 유익한 연극을 위해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다. 연출자가 배역을 주는 것보다 흥미롭지 않은가?

처음 하는 연극에서 연기를 가지고 서로 다툰 일이 있다. 주인공 역은 고등학교 시절에도 연극을 여러 편 한 사람이었고, 다른 친구들은 처음이었다. 다른 사람이 가소롭기도 하고 답답하기도 하였을 것이다. 자기 딴에는 연극을 살려보겠다고 과도한 연기를 펼쳤다. 혼자 설쳤다. 무대에 한 사람밖에 없었다. 연습 틈새에 수많은 이야기가 오갔다. 연출자는 타 대학에 재직 중인 교수였는데 한참을 듣고 있다 말했다. 서로의 배역에 충실한 것이 첫째이나 서로 조화를 이루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했다. 지나고 보니 최고의 연기는 서로를 돋보이게 하는 것이다.

인생도 다르지 않다. 자신의 역할만 극대화하거나 과대 포장해도 연극을 망친다. 좋은 연극이 될 수 없다. 혼자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연극에 거짓이란 있을 수 없다. 엉뚱한 짓을 해도 연극은 엉망이 된다. 혼자 있는 것이 무대 뒤라면, 그러한 것들은 무대 뒤에서나 할 일이다. 즐기자고 하는 일이다. 함께하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어서도 안 된다. 서로 조화를 이룰 때 연극이 더 빛나고 감동적이다. 자신의 역할만 있는 것이 아니요, 자신의 역만 소중한 것이 아니다. 상대 역이 없으면 자신 또한 없다. 나아가 주위 사람, 다른 연기자를 돋보이게 하는 것이 최상의 연기요, 역할 아닐까?

무대 위의 연극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 우리는 서로를 바라보는 관객이기도 하다. 연속해서 시극을 무대에 올리다 보니, 한번은 극이 끝나고 출연한 배우가 말했다. 공연장 바닥을 보니 쓰레기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배우나 관객 모두, 미적 쾌감과 감동을 나누어 배가시키기 위해 모인 것 아닌가? 고작 쓰레기나 남기려고 이 야단법석인가?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