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교육
  • 교육/시험

고교학점제, 학생중심 문화 확산에 기여

교육부 동계 워크숍.성과발표회 개최
올 연구학교 128곳, 선도학교 600곳 예정
수업 개선의지 제고 등 학생 중심문화 확산

김유진 기자

김유진 기자

  • 승인 2020-01-14 16:05

신문게재 2020-01-15 12면

GettyImages-jv1118775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교육부가 고교학점제의 안정적인 도입을 위해 올해 연구 학교를 128개로 늘리고, 마이스터고에서 학점제를 우선 도입하는 등 변화를 꾀하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13일~14일 서울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2019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동계워크숍 및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 학생 맞춤형 학습관리와 고교학점제를 위한 공간 조성 등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주요 성과와 사례를 공유하고 올 운영방향을 논의했다.

또, 성과발표회에서는 도시지역과 읍면지역 학교의 우수사례와 고교학점제 구현을 위해 지역 기반의 협력체 구성을 위한 교육지원청의 역할에 대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구학교 외에 시·도 자체적으로 교육청 특색 사업, 교과특성화학교, 교과교실제 등과 연계해 고교학점제 선도학교를 운영할 방침이다. 연구학교 수는 지난 2018년 54곳에서 2019년 102곳으로 증가했으며, 올 128곳을 목표로 한다. 예정 선도학교 수는 2018년 51곳, 2019년 252곳, 올 600곳 예정이다.

고교학점제를 도입한 학교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연구학교에서 학교의 적극적인 과목 개설 노력, 교사의 수업 개선 의지 제고 등 학생 중심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수업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해 수요조사를 실시, 이를 토대로 제2외국어, 교양, 전문교과 등 국어, 영어, 수학 교과 외에도 적성과 학업 역량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개설했다. 또, 학생의 수업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교과 융합 수업,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 과정중심평가 실시 등 수업과 평가의 질적 제고를 위한 노력도 이루어졌다.

2년차 연구학교 중 경남 함안고는 수업·평가 개선에 중점을 두었으며, 경기 고색고는 최소학업성취수준 도달 지원을 위한 과정 중심평가를 확대했다.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에 적합한 학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가변형 교실과 학생들의 자율 활동·휴식을 위한 공간을 꾸민 학교들도 늘어났다.

대전 전민고는 도서실 규모를 확장하고 접이식 문을 설치해 공강·수업·휴식 등 도서실 활용 폭을 대폭 늘렸으며, 전남 능주고는 학생·교사 의견에 따라 학습놀이터, 카페형 홈베이스 등 공간 디자인 및 학점제형 공간을 조성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고교학점제 정찰을 위해 앞으로 보완해야 할 부분들도 공유했다.

연구학교 운영을 통해 지원이 부족한 분야와 사전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할 부분도 드러났다. 학생의 교육과정 이수 지도,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설계·기획 등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역량을 제고하고, 관련 전담 인력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원 연계 교육과정 설계 전문가 양성 과정을 도입할 예정이다.

또한, 교사와 강사 수급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의 여건을 보완해 고교학점제 도입 시 지역 격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소규모 학교 고교학점제 안착 방안으로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등을 통해 학교 인프라를 지원하고, 교육청·대학·지자체 연계 협력 등으로 소규모 학교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 마련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은혜 부총리는 "고교학점제의 도입은 미래교육을 실현하는 중요한 발판으로 연구학교의 우수한 성과들이 현장에서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철저하게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는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 및 단계적 이행안을 담은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을 올해 하반기에 발표할 예정이다.
김유진 기자 1226yuji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