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요다라는 별명을 가진 과학자

박승일 한국원자력연구원 융복합양자과학연구소장

임효인 기자

임효인 기자

  • 승인 2020-07-30 16:12

신문게재 2020-07-31 18면

박승일 융복합양자과학연구소장
박승일 한국원자력연구원 융복합양자과학연구소장
멀고 먼 은하계를 배경으로 하는 미국의 공상과학 영화 - 또는 스페이스 오페라라고 하는 스타워즈 시리즈에는 요다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초록색의 피부를 가졌으며 왜소한 몸집에 지팡이를 짚고 절뚝거리며 다닐 정도로 노쇠했지만, 엄청난 '포스'를 가지고 있으면서 주인공에게 '포스'의 사용법을 가르쳐주는 역할을 한다. 요다는 스타워즈 팬들이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 중 하나로 스타워즈가 그다지 흥행하지 못한 우리나라에서도 모두 요다와 광선 검은 한 번쯤 들어봤을 정도다.

미국 유학 시절 요다를 만난 적이 있다. 영화의 그 요다가 아니라 요다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과학자였다. 2005년 타계한 미국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의 겐 시라니 박사가 그 주인공으로 필자가 만났을 때 나이가 이미 여든에 가까웠다. 동료들보다 키가 작았고 지팡이는 하지 않았지만 불편한 무릎 때문에 복도를 느릿느릿 걷는 것이 애처로울 정도였다. 그런 모습만으로도 요다라는 별명이 붙고 남았을 터인데, 시라니 박사는 중성자 산란이라는 학문 분야를 개척하고 많은 후학을 지도한 위대한 스승이기도 했다. 고령에도 불구하고 실험이 있을 때면 매일 실험실에 출근해 손자뻘인 젊은 과학자들을 가르쳐가며 실험을 진행하곤 했다. 그럴 때면 같이 실험하는 사람들은 모두 바짝 긴장을 했는데, 연구에 있어서 시라니 박사의 엄격함은 유명하기 때문이었다. 최초나 최고의 결과를 얻을 수 없을 것이라 판단하면 언제든지 - 모두 잠든 한밤중이라도 진행하던 실험을 과감하게 중단하고, 다른 시도를 이어갔다. 노벨상 수상 가능성을 따질 때 자주 사용하는 지표로 논문의 피인용지수가 있다. 시라니 박사는 당시 세계에서 피인용지수가 가장 높은 물리학자 중 한 명이었는데, 그의 그런 엄격함이 오랜 세월에 걸쳐 꾸준히 뛰어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비결이 아닌가 싶다. 함께 실험하면서 젊은 사람 못지않았던 시라니 박사의 천진난만한 열정과 깊이가 보이지 않는 '포스'를 느낄 수 있었던 것은 큰 행운이었다.



매년 연말이면 스웨덴의 노벨 위원회는 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한다. 작년 말에도 우리나라 과학계와 언론은 "혹시나 이번에는"하고 좋은 소식을 기다렸을 터다. 필자도 직업이 직업인지라 매년 누가 노벨상을 받는지 귀를 기울여서 뉴스를 듣곤 한다. 여전히 우리나라 과학자는 수상자 명단에 없었고, 일본과의 격차는 더 벌어졌다. 그러나 필자를 놀라게 한 소식은 따로 있었다. 노벨 화학상 수상자 세 명 중 한 명이 존 굿이너프 교수라는 것이다. 굿이너프 교수는 멀고 먼 옛날 고체물리학 분야에 무수히 많은 업적을 남겼고, 굿이너프-카나모리 법칙으로 교과서에도 등장하는 분이다. 요새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장치 등으로 각광받고 있는 리튬이온전지의 발명자 중 한 분이기도 하다. 안타깝게도 노벨상을 받지 못하고 돌아가신 것으로 생각했지만 이건 웬걸, 백 세가 가까운데도 정정하게 살아계시면서 여전히 연구에 열정을 불태우고 있다고 한다. 굿이너프 교수는 "노벨상은 살아남아 버티는 사람이 받는다"는 속설을 입증한 산증인이 됐다.

이렇게 서구의 대학과 연구소에서는 우리나라로 치면 은퇴한 지 한참 됐을 나이의 백발이 성성한 과학자가 연구 현장을 지키며 젊은 세대에게 지식을 전수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오랜 세월 쌓아올린 지혜를 필요로 하는 과학의 특징을 생각하면 이는 매우 자연스럽다. 그러나 눈길을 국내로 돌리면 안타까운 현실이 보인다.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는 정년 환원 문제로 시끄럽고, 왜 우리나라 과학자가 노벨상을 못 받는지 논쟁은 있을지언정, 열정과 총기가 넘치는 탁월한 과학자가 말년까지 실험실에서 일하는 모습은 아직 보지 못했다. 존경하는 선배들이 책상을 정리하고 외롭게 떠나가는 것을 지켜보며 얼마나 많은 가능성이 함께 사라지고 있나 생각해본다. 언젠가는 우리나라에도 요다라고 불릴 만큼 오랫동안 실험실을 지키며 '포스'를 뿜어내면서 후학에게 배움을 주는 과학자가 나왔으면 좋겠다.
박승일 한국원자력연구원 융복합양자과학연구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