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사설

[사설] 지진 대비, 아무리 해도 지나치지 않다

  • 승인 2023-05-01 14:48

신문게재 2023-05-02 19면

충북 옥천군 동쪽 일대에서 4월 30일 오후 7시 3분께 발생한 규모 3.1의 지진은 올해 내륙에서 일어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다. 소방청에 따르면 지진과 관련 충북에서만 60건 등 80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대전과 경북에서도 정차한 차가 흔들릴 정도의 진도 3이 감지됐다고 한다.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강원도 동해시 해역에서 나흘 동안 최대 진도 3.5 등 19차례의 지진이 발생한 직후인 터라 주민들은 놀란 가슴을 쓸어내려야 했다.

옥천 지진은 충청권이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을 다시금 확인해 준다. 지난해 10월 29일 충북 괴산군 북동쪽에서 발생한 규모 4.1의 지진은 충청권에서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낳았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당시 괴산 지진의 원인으로 장연면 등 일원에 분포한 '조곡단층대'를 꼽았다. 조곡단층의 경사와 방향이 지진을 발생하기 쉬운 구조로 충청권에 지진이 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근거였다.



최근 몇 년 사이 한반도에서 지진 발생이 늘어나고, 충청지역 지진 빈도 역시 잦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문제는 충청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이 내륙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이다. 기상청의 '2022년 지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 지진 가운데 내륙에서 일어난 지진 41회 중 북한(20회)을 제외하면 충남(4회)·충북(5회)이 42.9%에 달한다.

행정안전부는 최근 학교·항만·공항·병원 등 전국 공공시설 4곳 중 1곳은 여전히 지진에 취약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2017년 포항 지진 이후 내진설계 의무화를 강화하는 법을 시행하고 있으나 법 시행 이전에 지어진 건축물은 지진 발생 시 피해 위험에 놓여있는 것이 현실이다. 자연재난을 극복하는 유일한 방법은 사전에 징후를 감시하고 철저하게 대비하는 것뿐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안전관리 체계 구축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