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과학
  • 지역경제

[기획] 홍동면에선 결제는 '잎'으로, 대출은 '도토리회'에서

[기획-지역화폐로 만드는 행복한 마을] ② 소도시 지키는 충남 홍성군 홍성면 지역화폐 '잎'

이유나 기자

이유나 기자

  • 승인 2023-07-19 10:13
  • 수정 2023-07-19 14:31

신문게재 2023-07-20 11면

지역화폐가맹점지도
충남 홍성군 홍동면 지역화폐 '잎' 가맹점 지도. 사진=이동근 홍성지역화폐거래소 '잎' 운영위원 제공.
[기획-지역화폐로 만드는 행복한 마을]

② [국내 사례 방문기] 소도시 지키는 충남 홍성군 홍동면 지역화폐 '잎'



매년 발표되는 기준금리에 경제가 들썩인다. 금융소비자들은 이자를 많이 주는 적금을, 이자를 적게 내는 대출을 알아본다. 지역경제 또한 중앙은행시스템에 좌지우지되는 것이다. 지역 소비자가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사용할 때마다 일정 부분의 수수료는 카드사가 있는 중앙에 납부된다. 현재 금융시스템에서 지역은 자연적으로 중앙에 종속되는 구조다.



지역 화폐는 이러한 중앙집권적 금융시스템에 작은 균열을 일으킨다. 여기서 말하는 지역화폐는 지자체에서 발급하는 '지역사랑상품권'이 아닌 지역민이 주도해서 만든 지역화폐다. 지역화폐는 지역 공동체에서 나눈 '신용'을 바탕으로 발급된다. 0%이자 혹은 기부를 위한 마이너스 이자로 발급된다. 그런데도 꾸준히 이용하는 회원들이 있다. 지역화폐로 생계를 유지할 순 없지만, 나누고 도울 의지만 있다면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다. 화폐를 매개로 지역민들을 이어주는 지역화폐에 대해 알아본다. <편집자 주>



충남 홍성군 홍동면은 귀농·귀촌의 메카다. 홍성지역화폐거래소 잎의 운영위원인 이동근씨도 서울에서 홍성지역으로 이주해 현재는 홍동면 주민자치회 회장을 맡고 있다. 충남 홍성군 홍동면은 인구 3500여 명의 농촌 마을로, 1990년대 후반부터 귀농·귀촌 인구가 유입됐다. 환경과 생태 가치에 관심 있는 젊은 외지인이 터를 잡고 50여 개의 마을 조직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작은 농촌마을 홍동면엔 없는 게 없다. 홍동면 지역 주민들은 힘을 모아 의료기관, 어린이집, 학교, 만화방, 술집 등을 만들었다. 지역 할머니들이 지역 농산물로 반찬을 만드는 '할머니장터조합', 지역 농민에게 무이자 대출을 해주는 경제협동체 '도토리회', 협동조합 방식으로 운영하는 술집 '동네마실방 뜰',마을주민과 의료인이 운영하는 '홍성우리마을의료생협' 등이 있다. 대부분 홍동면 지역 주민들이 만든 지역화폐 '잎'의 가맹점이다.

KakaoTalk_20230719_014837033
홍동면 마을 안내판. 사진=이유나기자.
홍성군 홍동면 지역화폐 '잎'은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만, 상징적 의미가 크다. 이동근 홍성지역화페거래소 '잎' 운영위원은 지역재단 리포트에서 지역공동체가 만든 지역화폐는 커먼즈인 공유자원에 해당한다고 했다. 국가가 발행하는 공적인 본원화폐와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은행이 발행하는 사적인 예금화폐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과거 농촌 사회는 서로 돕는 품앗이를 통해 돈이 없어도 먹고 사는 문제가 대부분 해결됐으나, 도시화와 수도권 집중, 자본주의가 확산하며 농촌의 빈곤이 심화했다. 이러한 농촌의 문제를 지역화폐로 극복하겠다는 의지다. 지역화폐운동은 농촌의 지역공동체를 지속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사회전환운동을 지향하고 있다.

KakaoTalk_20230718_173519944
홍동면 지역화폐 '잎' 환전소 모습. 사진=이유나기자.
홍동면에선 2001년에 '홍성두레은행'이라는 지역화폐 도입이 처음 논의됐다. 2011년 홍동거리축제에서 실물 지폐 '톨'을 시범 사용했고, 2012년과 2013년 주민들이 만든 협동조합 술집 '동네마실방 뜰'에서 실물지폐 '뜰'을 시범 유통했다. 2014년 지역센터 '마을활력소'에서 한국은행권과 실물지폐 '잎'을 발행했다. '잎'은 한국은행권과 1대 1 환전하는 방식으로 유통됐으며, 천 잎, 오천 잎, 만 잎 등 세 종류의 지폐를 발행했다. 2017년 홍성지역화폐 거래소 잎에서 실물지폐 '잎'이 유통됐고, 같은 해 10명에게 10만 잎씩 6개월간 지급하는 기본소득실험을 진행했다. 코로나 대유행 기간 만남이 제한되며 잎 환전량이 70~80% 가량 감소했지만, 거리두기가 해제되며 다시 회복되고 있다. 또, 홍동에 있는 금융기관 '풀무신협'에선 지역화폐 '잎' 환전 업무를 대행주기 시작했다. 최근 환전액은 1000만 잎 정도이며 가맹점은 40~50여 곳, 회원은 450여 명 정도 된다.

KakaoTalk_20230718_173510115
홍동면 풀무신협에서 법정화폐 1만 원과 교환한 홍동면 지역화폐 1만 잎. 사진=이유나기자.
홍동면의 지역화폐 운동은 지역 금융 운동으로 확장하고 있다. 지역화폐를 취급하는 무이자 마을 은행 설립을 꿈꾸고 있다. 소액대출, 마을기금 조성, 상호부조 등 기존 제도권 금융을 보완하고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공공성을 담보하는 이른바 지역 공공은행이다. 이는 경제협동체 '도토리회'를 발전한 개념이다. '도토리회'는 회원들의 출자와 곗돈 납부를 통해 2015년 설립됐으며, 지역 공동체 금융 활성화, 지역 구성원 간 상호부조, 지역 경제적 자립 기반을 위해 만들어졌다. 도토리회에선 공익적 마을 사업, 창업, 생활비용, 초기 정착 비용, 지역 농민을 위해 무이자 대출을 해준다. 홍성지역화폐거래소도 도토리회의 단체회원으로 가입돼있으며, 지역화폐 '잎'의 유통을 위해 환전한 법정화폐 원화를 모은 도토리회 예치금이 있다. 예치금은 도토리회의 무이자 대출자금으로 사용된다.

홍동면은 기업 간 결제에 지역 화폐를 이용하는 방안도 연구 중이다. 홍성군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이 지역화폐를 매개로 상호금융거래망 체계를 갖추면 물류 이동비와 탄소발자국을 줄일 수 있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같은 유통망을 구축한 외국 지역화폐엔 스위스의 비어(WIR), 이탈리아의 사덱스(Sardex)가 있다.

올해부터는 부여군의 도움으로 부여군 지역사랑상품권의 시스템을 일부 빌려 카드, 모바일 등 전자화폐도 사용하게 됐다. 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과 달리, 지역화폐에 대한 홍성군의 관심은 적다. 이동근 홍성지역화페거래소 잎 운영위원은 "민간 지역화폐가 활성화되기 위해선 지자체장 의지가 중요하다"며 "홍성군 경제과 공무원들이 자주 바뀌고 지역화폐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다"고 아쉬움을 전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통해 작성됐습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