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우리나라 고령인구 비중 (사진=통계청) |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3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8.4%인 950만 명으로 나타났다. 고령자 비중은 계속 증가해 2025년에는 20.6%로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년부양비는 2023년 26.1명으로 2035년에는 48.6명, 2050년에는 78.6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지역별로 보면 올해 고령 인구 비율이 20% 이상을 차지하는 초고령 사회 지역은 전남(25.5%)과 경북(23.9%), 전북(23.4%), 강원(23.3%), 부산(22.2%), 충남(20.4%) 등 6곳이다.
충남을 제외한 충청권 지역 중 대전과 충북의 올해 고령 인구 비율은 각각 16.5%, 19.8%였다. 이들 지역은 초고령사회 전 단계인 고령사회(고령 인구 비율 14% 이상)에 진입해 있다. 세종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고령 인구 비율이 7%에 머물렀다.
통계청은 2028년에는 세종(13.4%)을 제외한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38년에는 세종을 포함한 전 지역이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5년 뒤 대전의 고령 인구 비율은 21.9%, 충남과 충북은 25.5%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고령 인구는 꾸준히 증가 추세지만,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고령자들은 절반밖에 안 됐다. 통계청이 65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노후준비에 대해 물은 결과(2021년 기준) '준비하고 있다'고 답한 고령인구는 56.7%에 불과했다. '준비하고 있지 않다'고 답한 고령자 비율은 43.3%였는데, 이유에 대해선 '준비할 능력이 없다'(59.1%)가 가장 많았으며, '자녀에게 의지한다'(29%), '앞으로 준비할 계획이다'(8.3%), '아직 생각하고 있지 않다'(3.3%)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대부분의 고령 인구가 자녀와 같이 살지 않으며, 자녀와의 동거도 원치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와의 동거 여부(2021년 기준)를 물은 결과 65세 이상 인구 중 72.8%가 '같이 살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향후 자녀와의 동거 의향 역시 75.7%가 희망하지 않았으며, 양로, 요양시설(10.2%)보단 자가(89.7%)에서 살길 원했다.
노후를 위해 사회에 원하는 점에 대해서는 노후 소득지원(41.1%)이 가장 많았다. 이어 의료·요양보호 서비스(34%), 노후 취업지원(14.4%), 문화·여가·복지서비스(7%), 교통·주거환경 조성(1.6%) 순으로 조사됐다.
고령 인구 취업자와 고용률은 늘고 있는 추세다. 2022년 기준 65세 이상 취업자 수는 326만 5000명이며, 고용률은 36.2%였다. 65세 이상 고령자 고용률은 지난 10년간 6.1%p 증가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