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사외칼럼

[김선균]3.8민주의거 49주년을 맞으며

[기고]김선균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사무처장.우송정보대 교수

김선균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사무처장

김선균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사무처장

  • 승인 2009-11-26 10:07

신문게재 2009-03-06 20면

1960년 3월8일 민주의거가 우리에게 남긴 유산은 무엇일까? 우리가 반세기를 지냈으면서 아직도 3.8민주의거를 회상함은 3.8의거는 티없이 맑고 숭고한 고등학생들의 정신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자유민주주의의 이념과 부정, 불의에 대한 정의의 도전이었다. 학생들의 순수한 열정이 동학농민혁명과 3.1운동보다 더 큰 국민혁명으로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국민이 역사발전의 주체임을 확인시켰고 민족자주와 평화통일의 이념을 지향하게 되었다.

▲ 김선균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사무처장.우송정보대 교수
▲ 김선균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사무처장.우송정보대 교수
3.8민주의거 정신은 헌신적이고 순수함이며 낭만과 용기를 가진 학생들이 자기 희생으로 독재정권을 붕괴시키고 다시 학원으로 돌아와 학업에 매진하는 한국인의 고귀한 정신과 용기를 전 세계에 과시한 위대한 고등학생들의 나라사랑 정신이었다.

3.8민주의거는 1960년 3월15일 실시될 예정이었던 제4대 대통령과 제5대 부통령선거에 여당인 자유당이 이승만과 이기붕을 당선시키기 위해 온갖 부정을 자행한 데서 비롯됐다. 경찰과 공무원이 선거 운동에 동원되었고, 학생들을 야당의 선거유세장으로 가지 못하도록 일요일에도 등교시키고 서울신문을 강제 구독하게 하며, 엄청난 선거자금을 뿌리면서 야당을 탄압하였다.

이런 시점에 2월28일 대구에서 전국 최초로 경북고, 대구고, 대구사대부고 등이 중심이 된 학생 데모가 일어났다. 자유당 정권의 횡포에 반기를 들어 학생들은 거리로 뛰쳐나왔으며 정부의 학원 탄압을 규탄하였다.

3월8일 대전고등학교 1, 2학년 1000여명의 학생들이 대전공설운동장에서 열리는 민주당 유세 시간에 맞추어 일제히 거리로 나서 독재정권을 타도하자는 시위를 하게 된다. 경찰은 무자비하게 학생들을 해산시켰고, 이 과정에서 경찰의 저지를 받던 학생들이 시내 일원으로 흩어져 학원민주화를 외쳤고 수십 명의 학생들은 경찰에 연행되어 조사를 받기도 하였다. 이틀 후인 3월10일 대전상고를 비롯한 대전 시내 고등학교 학생 1,500여명이 거리로 뛰쳐나와 데모를 벌였으며, 3월15일 마산에서 규탄대회를 하는 등 4.19 혁명 때까지 학생시위는 계속되었다.

2월28일 대구의거는 일요일인 데도 등교하라는 관계 당국의 반발로 일어난 항거였다면, 3월8일 대전 학생의거는 진정한 학원 민주화와 부정부패와 독재에 항거해 자발적이며 헌신적인 순수한 학생들의 정의감에서 시작된 4.19혁명의 단초였다. 충절의 고장인 충청도에서 그 후손들이 청년정신과 선비정신으로 나라를 사랑하고 민주주의를 지키려 했던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3.8민주의거는 불손 세력이나 외세의 사주에 의한 것이 아니고 정의감의 발로 속에 부정과 불의에 항거한 민족정기의 표현이다. 부정 축재자와 부정선거를 조작한 주모자와 발포 책임자를 색출, 처벌하고 정부통령 선거를 다시 해야 하며, 학원의 정치 도구화를 반대하는 자유민주주의 이념을 배우고 있던 학생들의 순수한 이념적 행동이었음을 상기하여야 한다. 우리 손으로 이루어낸 4.19 정신을 21세기의 달라진 상황 속에 미래를 개척하는 정신적 유산으로, 창조적으로 활용하는 지혜를 발휘하여야 한다.

아직도 우리는 정치적 혼탁과 경제적 혼란 등을 겪고 있다. 이런 현실을 직시할 때, 3.8의거에서 보여준 선배 학생들의 의로운 기상과 숭고한 정신은 마땅히 후배들에게 계승되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