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행정
  • 대전

30년 뒤, 충청지역 시·군·구 14곳 역사 속으로

강우성 기자

강우성 기자

  • 승인 2016-09-21 17:36

신문게재 2016-09-21 1면


충남 9곳, 충북 5곳 인구소멸위험단계 진입

황영철 의원, 고용정보원과 위험지수 분석 결과

30년 후, 충청권 내 시·군·구 14곳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가능성이 제기됐다.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귀농과 귀촌이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젊은층의 탈농촌화가 지속되면서 마이너스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새누리당 황영철 의원(홍천·철원·화천·양구·인제)은 한국고용정보원과 함께 ‘한국의 지방소멸 위험지역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런 결론이 내려졌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결과는 한국고용정보원이 개발한 ‘지방소멸 위험지수’를 도입·계산한 것으로, 지방소멸 위험지수는 가임기로 보는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로 나눈 값이다. 산출값이 1.0 이하이면 ‘인구쇠퇴 주의단계’이며, 0.5 이하이면 ‘인구소멸 위험단계’ 진입을 의미한다.

가임기 여성 인구수가 고령인구수 절반에 못 미치면 출산율이 늘어나도 인구가 지속 감소하기에 궁극에는 사라지게된다는 것이다.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지난 7월을 기준으로 지방소멸 위험지수가 1.0 이상인 곳은 서울과 인천 등 대도시는 6곳에 불과했다.

충청권에서는 대전(1.2)과 세종(1.5)만 포함됐고, 충남(0.7)과 충북(0.8)은 전남(0.5)과 전북(0.6)에 비하면 다소 나은 상황이지만 지난해 7월에 비해 소멸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은 기초단체 내 인구 소멸위험지수를 보면 더 명확해진다.

전국 84곳이 소멸 위험에 놓인 가운데 충청권에서는 14개 시·군·구가 소멸 위험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고용정보원이 위험단계로 진입한 지역의 경우, 30년 내 소멸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는 점에 미뤄보면 충청권 기초단체 절반가량이 30년 뒤에는 인구가 소멸, 지도명에서 빠질 가능성을 배제키 어렵다고 예측되는 것이다.

특히, 충남도는 청양(0.224)과 서천(0.238), 부여(0.261), 금산(0.310), 예산(0.311), 태안(0.314), 보령(0.427), 논산(0.430), 공주(0.454), 홍성(0.479) 등 무려 9곳이 인구소멸위험단계에 들어섰다.

충북에서는 괴산(0.228), 보은(0.248), 단양(0.292), 영동(0.305), 옥천(0.340)이 소멸위험단계로 조사됐다.

이 도시들은 2014년과 지난해 기준으로 봐도 대부분 인구소멸 신호가 지속 감지된 것으로 파악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황 의원은 “현실로 다가온 지방인구감소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20~39세의 젊은 여성이 지역에 정착해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국가 균형발전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우성 기자 khaihide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