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최충식 경제통

[최충식 경제통] 4차 산업혁명에 일자리 뺏길라

최충식 논설실장

최충식 논설실장

  • 승인 2017-07-05 11:33

신문게재 2017-07-06 22면


4차 산업혁명이 짧은 기간에 이렇게 산업계, 과학계의 핫이슈로 뜰 줄 몰랐다. 개 한 마리가 짖으면 온 동네 개가 따라 짖는다는 옛말(일견폐형 백견폐성·一犬吠形 百犬吠聲)이 떠오른다. 굉장히 미안한 비유인데, 한쪽에 치우쳐 그쪽으로만 향하고 있다. 특히 일자리 창출의 보물창고처럼 간주되다 보니 너무 장밋빛 일색이다.

밝은 면만 보면 실상을 제대로 보고 정책을 잘 짜는 데 방해가 된다. 18세기 기계혁명(1차 산업혁명). 19세기 전기혁명(2차 산업혁명), 1969년이 기점인 정보혁명(3차 산업혁명), 작년 다보스포럼 또는 2010년으로 소급될 4차 산업혁명은 네 번째로 세상을 바꿀 혁명적 변화가 일어난다는 뜻이다. 따라서 인공지능(AI)과 로봇기술, 생명과학이 이끄는 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 대책이라는 등식은 반만 맞았다. 시장 퇴출이나 고용 불안의 그림자를 보지 않아 반은 틀리다.

▲ 최충식 논설실장
▲ 최충식 논설실장
정부와 각 지자체가 실제로 지금 쏟아내는 대책도 그렇다. 나쁘게 평하면, 좋은 일자리를 위한 사회적 대응이라는 표현으로 정책의 부실함을 포장하는 듯 보인다. 만약 프레이와 오스본 교수의 선행연구 결과를 대충이라도 훑고 난다면 일자리의 감소를 먼저 걱정할 것 같다. 한국고용연구원 조사에서는 직업인 44.7%가 '내 직업 일자리'가 4차 산업혁명으로 감소한다고 봤다.

정신이 더 번쩍 드는 대목이 있다. 10년 안에 국내 일자리 중 70.6%가 로봇으로 대체된다는 전망에서 자유로운 직장인은 얼마 안 될 것이다. 요리사가 로봇 요리사에게 주방을 내줄 확률은 96%나 된다. 1시간에 초밥 4800개를 만드는 초밥로봇을 보고 기술시대를 공짜로 괜히 '혁명'으로 불러주는 것이 아님을 필자는 자각했다. 속도, 범위와 깊이, 시스템 충격, 파급력 모든 면이 급진적이고 근본적이다.

그래서 혁명이다. 신성장산업이라는 기회의 요소 이상으로 기존 산업 퇴조라는 반역적 혁명의 기류까지 섞여 있다. 스마트 공장, 무인(無人) 공장이 서면 일자리는 엿 바꿔먹듯 생산성과 바꿔야 한다. 청소원, 매표원, 주차관리원, 청원경찰 등 대체가 용이한 직업군, 선망하는 일자리인 의사, 판사, 변호사도 안전하지 않다.

기자도 대체 불가능의 직업이 아니다. “롯데는 23일 열린 2015년 프로야구 삼성과의 홈경기에서 4-12점으로 크게 패하여 홈 팬들을 실망시켰다….” 기사 작성 로봇이 쓴 기사를 보고 이를 예감한다. BNK금융경영연구소 분석으론 영남의 동남권에서만 5년간 일자리 2만개가 사라진다. 직업 간 희비가 뚜렷한데 미래 유망 직종 일자리 창출의 근거 없는 자신감, 대책 없는 낙관주의로 가득하다. 지난 몇 달간은 그랬다.

지난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주관 세미나에서 대전·충남 제조업은 4차 산업혁명 초기 단계라는 진단이 나왔다. 자세히 보면 3차 산업혁명 단계에도 못 도달한 기업이 수두룩하다. 청와대 일자리 상황판에 시선이 쏠린 문재인 정부나 지역형 뉴딜을 꿈꾸는 각 지자체는 고용 변화의 속 깊은 내면을 들여다보기 바란다.

우리가 보는 그래프와 숫자엔 미래사회의 산업지형이 빠져 있다. 한국 내 일자리 63%가 자동화로 밀려난다는 다보스포럼의 전망은 경고에 가깝다. 초연결, 초지능의 초불확실성 시대가 코앞이다. 좋은 데만 정신이 팔려서는 사이버 공간에서 즐겨 쓰는 '현자(賢者) 타임'이 온다. 일자리 유연성과 안전망 없이 로봇과 인공지능에 일자리를 빼앗긴 어느 날 퍼뜩 허무함을 느끼는 '현타'가 온다면 그때는 늦다.

돌이킬 수 없을 만큼 늦다. 엥겔스가 작명하고 토인비가 정착시킨 산업혁명은 급격한 사회경제적 변혁 과정에 주목한 거었다. 혁명의 과정은 4차 산업혁명에서 또 일어나며 그 혁명은 비합법적 수단을 내포하기도 한다. 일자리를 앗아간 방직기와 직물기계를 때려 부수던 '1차' 때의 러다이트(Luddite) 운동을 재연할 수는 없다. 새로 창출될 양질의 일자리 이상으로 소멸될 대량실업 직업군에 정책적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일자리 창출과 비슷한 비중의 일자리 보호 대책이 필요하다.

최충식 논설실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