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붕준의 '방송 타임머신']원서마감 날에 웬 수석합격자 방송?

이승규 기자

이승규 기자

  • 승인 2018-11-29 08:20

신문게재 2018-11-29 23면

박붕준
박붕준(대전과기대 신문방송주간 교수/홍보전략센터장/전, 대전MBC보도국장.뉴스앵커)
수능시험과 대학들의 2차 수시모집도 마감되었고, 내년 1월 마지막 정시모집만 끝나면 모든 입시 일정이 끝난다.

거의 30년 전 입시는 지금처럼 수시와 정시, 내신 등 복잡한 선발제도가 아니었다. 학력고사(지금의 수능)점수를 가지고 응시할 때다.

이에 따라 대학들은 '학력고사 최고 득점자'를 유치하려고 총력전을 펼쳤다. 이유는 지금과 달리 해당 대학 수석 합격자점수가 뉴스는 물론, 신문까지 대서특필(?) 되었기 때문이다.



A 대학 평판이 높더라도 B 대학 수석 합격자의 학력고사 점수가 높으면 그 대학의 위상이 치솟았던 시대다. 수석 합격자의 점수로 대학 수준을 평가한 것.

한 대학은 수석합격자에 졸업 후 교수채용 우대까지 내 걸었고, 시민들도 "어느 대학에 몇 점짜리가 왔더라!" 하면서 화제에 올렸다.

합격자 발표 기사는 의미가 없어 특종 욕심이 발한다. 원서접수 마감 후 친한(?) 입시 담당자에게 지원자 최고 점수 확인 후 뉴스가 송출된다.

"00대학의 올 입시에서 000가 학력고사 000점으로 대전지역 전체 대학 비공식 최고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대학에서 항의(?)전화가 온다.

"응시자 채점 시작도 안 했는데 벌써 수석합격자를 방송하면 어떻게 혀?"

답변한다. "왜! 틀려?"

담당자, "아니 틀린 건 아닌디…."

다시 답변한다. "비공식이라고 했잖아!"

드디어 공식 합격자발표 날! 다 맞았다. 결과적으로 특종(?)보도. 당시에는 엠바고(특종시점 보도 약속)도 없었을 때다.

요즘에 간혹, 기관의 보도자료를 그대로 복사(?)해 쓰는 기사를 보면서 뇌까린다.

"난 그때 너무 앞서갔지만, 발로 뛰어 쓴 창작품이었지 복사하지는 않았어!" 라고…. 박붕준(대전과기대 신문방송주간 교수/홍보전략센터장/전, 대전MBC보도국장.뉴스앵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