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오늘의 군상

이해미 기자

이해미 기자

  • 승인 2019-08-28 18:24
  • 수정 2020-05-13 12:01

신문게재 2019-08-29 22면

중도일보 이해미
#고암 이응노 작가의 대표작은 역시나 '군상(群像)'이다. 멀리서 보면 하나의 점처럼 보이지만, 가까이 다가가면 모두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사람의 모습으로 다가온다. 한곳에 모여 있지만 실제로는 각각 다른 모습을 지닌 우리처럼 말이다. 군상은 우리지만 개인을, 개인이지만 우리 모두의 모습을 담은 복합적인 삶의 형태를 담고 있다. 고암의 '군상'을 자세히 살펴보면 사람들은 어느 하나의 목표 지향점을 두고 달려가는 듯 하다. 그러나 속내는 알 수 없다. 함께 모여 춤을 추는 것인지, 이동을 위해 줄을 선 것인지 아니면 각자의 길을 가고 있는지. 그림 속의 미묘한 관계들을 찾아내는 것, 이것이 바로 예술의 보는 맛일 거다.

#대전예술의전당을 찾은 '군상(群像)'들은 화가 났다. 클래식 공연을 보고자 왔더니, 뜬금없이 현(絃)을 홍보하는 연주자들의 행위에 모욕감을 느꼈단다. 연주자와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공연과 강의가 어우러진 '렉터' 형식의 공연이었지만, 사전 공지가 없었던 탓에 일반 관객들이 들어왔던 것이 화근이 됐다. 심지어 공연을 대표하는 연주자는 피로누적을 언급하며 대체 연주자를 무대에 올렸다. 이미 화가 난 군상들에게 두번째 모욕감을 안긴 셈이다. 퇴장과 환불, 사과가 이어졌지만 19년을 이어온 전통적인 음악제는 '옥의 티' 하나로 입방아에 오르고 내렸다. 이것은 작은 실수가 낳은 화마였다.



#최근 방영된 '그것이 알고 싶다'를 보고 난 뒤 인스타그램에서 일본과 관련된 사진을 모두 지웠다. 무려 서른 장이 넘었다. 그것이 알고싶다는 '누가 소녀상에 침을 뱉는가'를 주제로 신친일파로 분류되는 몇몇 사람들의 공통점을 찾는 과정으로 이어졌다. 그 끝에는 '이승만 학당'과 '뉴라이트'가 있었다.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 "조선은 미개했고, 일본의 지배로 인해 우리는 철도 등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이게 됐다"는 주장을 폈다. 여기에 한술 더 뜬다. 위안부는 절대로 강제로 징집된 것이 아니라 그들은 이미 조선의 매춘부였거나 자발적으로 위안부가 됐다는 논리다. 개탄스럽다. 신친일파라는 군상(群像), 이것은 민족정신이 말살된 인간의 광기를 보는 듯 했다.

#"서울대는 촛불을 들려면 폭염에 창문도 없는 계단 밑 쪽방에서 숨져간 청소노동자를 위하여 촛불을 들어야 했다.(중략) 명색이 대한민국 최고의 지성이 모였다는 곳에서 탐욕과 이기심에 쩔어 버린 청년들의 군상((群像)을 보는 것은 역겹기 그지없다." 최근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에 서울대 총학이 촛불 집회를 연다는 보도에 대한 네티즌의 일침이다. 서울대를 졸업한 한 선배는 "불공정한 입시제도의 수혜자는 너희"라고 꼬집었다. 개천에서 용난다는 말은 사라진 이때 기득권 세계에 발을 담근 그들이 촛불로 누구를 나무랄 수 있을까. 이것은 '너 자신을 알라'고 했던 소크라테스의 말을 떠올리게 한다. 이해미 교육문화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