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 칼럼] 고암 이응노의 '그리운' 사계 산수

김현숙 (이응노연구소 소장)

오희룡 기자

오희룡 기자

  • 승인 2021-03-31 15:45

신문게재 2021-04-01 19면

이응노, 풍경, 1
이응노, '풍경'. 1968. 한지에 수묵담채. 28.5×36cm,이웅노미술관소장
이 칼럼에 사진으로 실린 풍경화는 대전 이응노미술관의 '이응노의 사계'전에 전시되고 있는 그림 중 하나로 이응노가 유럽 간첩단 조작 사건인 '동백림사건'에 억울하게 연루되어 대전교도소에 복역했을 당시에 그려졌다.

길게 흐르는 큰 강을 가운데로 하여 뒤로는 나지막하고 둥근 산이 물결처럼 겹겹이 이어지고, 강 앞쪽의 흙 길에는 하얀 두루마기에 갓을 쓴 두 노인이 서있다. 삼단 구성에 호방한 붓질로 시원하게 펼쳐진 강변 풍경을 들여다보니 길 위의 두 노인네 표정과 몸짓이 사뭇 재미지다. 생선 한 축을 손에 든 노인은 고개를 돌려 뒤쳐진 친구를 바라본다. 한시라도 빨리 싱싱한 생선을 가족 저녁 상 위에 올리고픈 마음에 지팡이를 앞쪽으로 꾹 집었는데 무언가 그를 막는 기운이 있다. 살펴보니 뒤쳐진 어르신의 두루마기 앞섶이 흐트러져있고 얼굴은 벌겋게 달아올랐다. 지팡이를 짚지 않고 손에 들고 있으니 길을 가려는 마음이 없고, 벌건 얼굴색으로 미루어 이미 거나하게 마신게 틀림없다. 그럼에도 친구를 붙잡는 그 심사를 짐작하기란 그다지 어렵지 않을 것이다. 흥건하게 취해 인생사 쉬어가면 좋으련만 이 친구 날 버리고 그냥 가려하니 수염이 삐죽 곧추설 정도로 괘씸하지 않겠는가.



산꼭대기에 늠름하게 자리 잡은 정자, 소 등짝 같이 솟아 이어지는 산등성이, 강변을 따라 이어지는 가옥들이 펼치는 그림 속 풍경을 눈으로 따라가 본다. 공간 지리 파악에 심히 어두운 필자로서는 이 곳이 어디일까 하염없이 궁금할 뿐이지만 어쩌면 구체적으로 어디라고 꼭 집어 말해줄 이가 홀연히 나타날 지도 모르겠다. 그림 우측에 화가가 직접 썼듯이 이 그림은 대전 교도소에서 그렸으니 직접 경치를 보고 그린 사경이나 실경은 아닌데, 산은 푸르고 미루나무와 버드나무에 살이 올라 잎이 풍성하니 때는 늦봄이나 초여름이다. 기억 속에서 끄집어낸 풍경이고 인물인데 계절감까지 생생하게 전해지니 단원 김홍도가 울고 갈 실력이 아닐 수 없다. 고향 가까운 대전 교도소에서 그렸으니 도도히 흐르는 금강 변 풍경을 그리워하며 그리지 않았을까 짐작해본다.

김현숙 사진
김현숙(이응노연구소 소장)
고암은 '홍성에서도 몇 십리 더 떨어진 고요하고 평온한 작은 마을', 뒤로는 수수하고 우아한 월산이 받쳐주고 앞으로는 우뚝 솟은 용봉산 봉우리가 보이는 초가에서 태어났다. 부엉이 봉우리, 까까중 봉우리, 공주 봉우리, 올빼미 바위, 새색시 바위, 늙은이 바위 등을 오르내리며 자랐으니 훗날 가고 싶어도 갈 수 없는 고향을 그리워하며 '늙은 부모와 형제, 친구들과 마찬가지로 내 마음 속 깊은 곳에 그 바위들은 언제나 함께 있다'고 회고할 만하다. 고암에게 산수란 형상에 기개를 담고 거기에 냄새와 정감의 온도가 더해진 그리움의 덩어리가 아니었나 싶다.

충청이 낳은 세계적 거장 고암 이응노의 작품세계에 대해서는 주로 '문자추상'과 '군상'이 중심이 되어 논해질 뿐이지만 그는 산수, 인물 풍속, 대나무, 소와 닭과 개 그림 등 셀 수 없이 많은 그림과 조각 등속을 마치 숨을 쉬듯 제작했다. 그러하니 고암이라는 큰 산을 오르는 길은 수 없이 많을 수밖에 없으며 그 길의 고비 고비마다 풍경과 물상과 이야기들이 펼쳐지게 된다. 누구도 길 하나의 시각으로 모든 것을 보았다 말하지 말라. 지금 대전 이응노미술관에서는 고암이 머물렀던, 혹은 지나치며 마음에 담았던 사계절의 산수풍경이 부활하듯 펼쳐지고 있다. 만물이 따사로운 빛을 받으며 기지개를 펴는 봄 날, 고암 이응노와 함께 계절 속으로 들어가 보기를 권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