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들
  • 다문화 신문

[대전다문화] 다문화 이해교실 후기

한국에 대해 배우고, 느끼고, 깨닫다!

우난순 기자

우난순 기자

  • 승인 2024-03-06 16:40

신문게재 2024-03-07 9면

유은기 첨부사진
지난 2월 6일에 대전중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다문화 이해교실 교육을 들었습니다. 날씨는 아주 추운 겨울이었지만 마음만은 따뜻한 시간이었습니다. 이번에 참석한 결혼이주여성 대부분이 베트남 여성이었고, 중국 여성은 세 명 정도 있었습니다. 대부분 한국말이 서툴렀지만 서로 소통하고자 하는 열정은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다문화 이해교실을 통해 한국의 고유문화유산과 고유 음식, 전통 가옥 등에 대해 배웠으며, 한국에 있는 다문화가족들이 10년 전에는 어떻게 살았고, 10년 후에는 어떻게 살아갈지를 영상을 통해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대한민국의 세계문화유산인 해인사 장경판전의 설명을 듣고 한국의 위대함과 존경심을 느낄 수 있었으며, 우리나라의 종교도 하나씩 살펴봄으로써 한국에 대해 더 깊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한국 고유의 음식인 한식에 대해서도 배웠는데, 한식은 기본적으로 밥, 국과 김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밥은 쌀을 찐 것이며 국은 맑은 수프, 김치는 발효시킨 배추라고 합니다. 한식에서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밥이자 영양소 공급을 위해 다양한 반찬과 국이 어울러 식사를 합니다.



그리고 한국은 예로부터 전통 가옥인 한옥에서 살았고, 지붕의 재료에 따라 초가집과 기와집으로 구분됩니다. 기본 구조는 안방, 건넌방, 사랑방, 부엌, 측간으로 나누어져 있고 기본적으로 집을 지을 때, 자연과의 조화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여 자연의 곡선에 맞춰 한옥을 짓곤 합니다.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마루와 온돌인데, 사계절이 뚜렷한 한반도의 기후에 따라 겨울에는 온돌방에서 따뜻하게 여름에는 대청마루에서 더위를 식히곤 합니다.

저는 이번 다문화 이해교실 교육을 통해 한국에 대해 더 깊이 배울 수 있어서 유익했습니다. 그리고 한국의 옛 문화와 종교 등 잘 몰랐는데, 강사 선생님께서 자세하고 쉽게 알려주셔서 이해되면서도 옛 문화와 정서를 저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다음에 또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면 참여하고 싶습니다.



유은기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