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기고] 반려동물 천만시대, 무엇을 할 것인가

정용래 대전 유성구청장

김지윤 기자

김지윤 기자

  • 승인 2024-03-25 17:02

신문게재 2024-03-26 18면

정용래
정용래 유성구청장.
숙종은 소문난 애묘인이었다. 기록에 따르면 숙종은 참배하러 가는 길에 굶주린 고양이를 발견했다. 궁으로 데려와 털이 노랗다 하여 금덕이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애지중지 키웠다. 금덕이 새끼를 낳고 죽자, 새끼를 금손이라 부르고 또 정성을 다했다. 식사할 때면 고기반찬을 직접 나눠 먹이고, 집무 시간에도 늘 곁에 두었다고 한다. 임금의 마음이 전해진 것일까? 1720년 숙종이 세상을 떠나자, 금손이도 며칠 동안 음식을 끊고 슬프게 울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성종의 동물 사랑과 관심도 유난했던 모양이다. 낙타 수입을 추진했다가 신하들이 "백성들이 어려움에 빠져 있는데 수입 비용이 너무 과하다"고 반발해 포기했다고 한다. 궁에서 키우던 원숭이에게 흙집과 옷을 만들어 주려다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 좌부승시 손비장은 "성상께서는 애완동물이나 좋아하는 임금으로 역사에 기록되지 않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결국 성종은 "내가 애완동물을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한발 물러섰다. 시대적 상황으로 커밍아웃은 못 했지만, 이 정도면 못 말리는 동물애호가라 불릴 만하다.

궁궐뿐 아니라 민간에서도 동물과 얽힌 이야기가 많다. 주인 목숨을 구한 충견(忠犬)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실제 충북 음성에는 세조 즉위의 일등공신이었던 권람의 묘소 옆에 충견총이 있다. 산불이 나자 자기 몸에 물을 묻혀 권람을 살렸다는 개의 무덤이다. 호주나 미국 등에서 대형산불이 나면 야생동물의 극적인 생존기가 전해진다. 지난 2019년 호주 퀸즐랜드주 산불 현장에서 불에 그을리면서도 어린 새끼를 품에 꼭 안고 살린 어미 코알라의 사연에 전 세계가 감동했다.



국내 반려동물 인구가 1,000만 명을 훌쩍 돌파했다.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 조사에 따르면, 거주지에서 반려동물을 직접 양육하는 가구 비율은 25.4%, 양육 인구는 1,306만 명에 달한다. 4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것이다. 양적 증가만이 아니라 반려동물을 대하는 인식도 많이 변했다. 귀엽고 즐거움을 주는 대상에서 같이 살아가는 반려자, 가족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았다. 반려동물과 아파트 산책로나 공원을 거닐고, 여행도 함께 가는 모습은 이제 익숙한 풍경이 되었다. 1인 가구 급증, 인구 고령화 등이 '반려동물 인구 천만 시대'를 재촉한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유성구는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발맞춰 올해도 다양한 반려동물 관련 정책을 추진한다. 반려동물 천만 시대,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의 결과물이다. 먼저 죽동에 사람과 동물이 함께 즐기는 반려동물 놀이터를 조성한다. 800㎡ 규모로 조성되는 반려동물 놀이터에는 벤치, 파라솔, 놀이기구 및 휴식 공간 등이 들어선다. 또한, 내장형 동물 등록 지원과 동물단체, 동물병원 등과 협력해 유기동물 구조사업을 펼친다. 사회적 약자 1명 당 20만 원의 반려동물 진료비를 지원하고, 명예동물보호관 위촉, 임시보호,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을 벌인다. 어린이 등을 대상으로 한 반려동물 문화교육도 지속적으로 이어간다.

모든 사회적 현상에는 빛과 그림자가 공존한다. 반려동물 천만 시대도 그렇다. 빛의 밝기를 더하고 그림자의 어둠을 최소화하는 게 지방정부의 책무다. 유성구가 반려동물 정책에도 팔을 걷는 이유다. 동시에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나와 이웃, 바로 공동체를 위한 일이기 때문이다. 애묘인이었던 숙종, 동물애호가였던 성종이 지금 시대에 살았다면 어떤 정책을 폈을지 궁금하다. 최소한 "동물을 대하는 수준이 그 나라의 수준"이라는 말에는 깊이 공감하지 않았을까?

정용래 대전 유성구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