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교육
  • 이슈&화제

'공주와 회덕 변방에서 도시로' 대전의 시작은 "경부선과 대전역"

대전시 주최 '대전역사문화 학술대회'서 발표돼
대전역 개설과 일본인 이주를 대전 큰사건으로
"회덕·공주의 경계에서 지금의 대전 되는 시작"
대전 성장 과정으로 보는 현 역사서술과는 달라

임병안 기자

임병안 기자

  • 승인 2024-09-09 08:44

신문게재 2024-09-09 2면

IMG_9777
대전시가 6일 철도보급창고에서 개최한 '대전역사문화 학술대회'에서 전체토론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대전천이 흐르고 보문산을 바라보는 저지대에 경부선 기차 정거장이 놓이고 일본인들이 정착하면서 기존의 전통질서와 다른 대전이 시작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일본인이 먼저 정착해 1914년 행정단위로 지정된 대전면(1.26㎢)이 광역시 대전의 시작으로 볼 수 있고 오히려 이곳에 조선인이 유입됐다는 주장인데, 회덕과 유성에 뿌리를 두고 경부선 철도 개설은 대전이 성장하는 과정으로 바라본 지금의 역사 서술과 결이 다르다.

대전시가 9월 6일 동구 신안동 철도보급창고에서 개최한 '제5회 대전역사문화 학술대회'에서 광역도시를 이룬 대전이 시작된 것은 경부선 대전역 개통과 일본인 정착에서 찾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1904년 6월 준공 이래 대전역 120년을 맞는 해에 마련된 이날 학술대회는 허부문 전 전주대 교수와 한상철 목원대 교수, 위경혜 전남대 교수 등이 대중가요를 비롯해 문학, 극장에서 다뤄진 대전역을 조사해 발표하고 이용상 우송대 철도경영학과 교수의 사회로 토론이 이어졌다. 방청객 30여 명이 지켜보고 3시간 30분간 진행된 발제와 토론은 유튜브를 통해 중계됐다.



이날 고윤수 시 학예연구사는 '대전의 기원과 대전역'이라는 주제로 첫 번째 발제를 맡아 경부선과 대전역이 놓이고 일본인의 정착하는 과정을 하나의 사건이 되어 대전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그는 1904년 대전에 정착한 재조일본인 쓰지 긴노스케를 조사하고 '식민도시 대전의 기원과 도시 공간의 형성' 등의 여러 논문으로 일제강점기 대전을 비춘 바 있다. 고 학예연구사는 이날 발제를 통해 1921년 대전실업협회가 발행한 '충남산업지'와 쓰지 긴노스케의 아들 쓰지 만타로가 1978년 지은 자서전에서 경부선 철도가 개설될 때 대전은 삭막한 한촌이자 황량한 산야이었다고 서술한 부분을 인용했다. 또 대전역의 위치가 당시 전통적 행정구역에서는 공주의 끝이자 회덕의 변경으로 대전천변은 행정력이 거의 미치지 않는 사람도 거의 살지 않는 곳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런 곳에 역이 세워지고 일본인들이 정착하면서 근대도시로서의 대전이 출발하는 중요한 동인이었다고 주장했다. 1904년 대전역이 준공하고 일본인 188명이 대전역 부지와 그 주변에 거주한 것을 시작으로 1910년까지 대전에 일본인은 연평균 76% 증가해 1914년 대전역과 대전시장 주변의 일본인 거류지를 대전면으로 지정하면서 회덕이나 공주와 다른 대전이 시작했다는 설명이었다.

대전시는 홈페이지를 통해 조선과 고려시대 유성·회덕·진잠을 대전의 역사로 소개하고 있으며, 1994년 발행한 '대전지명지'에서도 1895년 회덕군 산내면의 대전리 행정지명으로 처음 등장해 대전역이 설치되면서 급격히 발전을 이뤘다고 역사를 기술하고 있을 뿐, 대전역과 일본인 정착을 시작으로 서술하지 않고 있다.

고윤수 학예연구사는 이날 발표에서 "지명이 나오는 때부터 지금의 대전이 존재했다는 생각은 주의할 관점으로, 대전천을 상류 강변에 5일 간격의 시장이 있었고 그곳에 조선인이 거주했다는 것은 그들이 이주민이었다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라며 "지금 대전을 이루는 모든 공간과 역사를 하나로 설명할 수는 없으나, 경부선 대전역 개통과 일본인들의 정착지가 대전면으로 지정되어 어떤 프로세스를 통해 대전이 되었는지 이해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방청객 중 고등학교 교장을 역임한 한 인사는 "처음 접하는 역사 이야기인데 설득력 있게 느껴진다"라고 기자에게 설명했고, 사회를 맡아 참여한 이성우 충남대 연구교수는 "간과되는 것들이 있고 대전면에 대한 설명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현장에서 말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