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도심융합특구 구상도. 제공은 대전시 |
대전시는 도심융합특구 지정 및 기본계획을 국토교통부로부터 승인받았다고 8일 밝혔다. 도심융합특구는 지역 거점에 산업, 주거, 문화 등 복합혁신공간을 조성하여 기업투자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미래형 도시 모델이다.
이번에 승인 받은 도심융합특구 위치는 KTX 대전 역세권과 옛 충남도청을 포함한 선화동 일원으로 두 지역을 잇는 중앙로까지 134만㎡(약 40만 평) 규모이다. 도심융합특구 내에서는 도시·건축규제가 완화되어 고밀도 복합 개발이 가능하고, 국공유지 사용료·부담금 감면 등의 이점이 있다.
기본계획을 살펴보면 첫째, 우수한 광역 교통 인프라를 가진 KTX 대전 역세권을 집중 육성해 대전시의 R&D 산업의 확산과 UAM 등 환승체계를 구축한다. 둘째, 옛 충남도청과 중앙로 일원을 청년들의 창업·문화 거점으로 조성하고 국·공유지를 활용한 기관과 기업 유치를 추진 계획이다.
시는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주요 사업을 우선하여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최우선 과제로 메가 충청 스퀘어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지하7층~지상49층 규모로 컨벤션·상업·주거·호텔 등 고밀 복합시설을 2030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현재 민간사업자 공모를 준비 중으로, 특구 지정으로 각종 특례가 가능해짐에 따라 민간 참여가 더욱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또한 글로벌 문화 콘텐츠인'0시 축제'와 도심융합특구를 연계하여, 중앙로를 축제와 상징의 거리로 조성하고 세계적 문화가 소통하는 공간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대전도심융합특구 위치도. 제공은 대전시 |
대전역세권개발사업은 대전 동구 정동과 소제동 일대 재정비촉진지구 92만㎡ 중 대전역에 인접한 복합 2-1구역 상업복합용지 약 3만㎡를 복합 개발하는 사업이다.
아파트 987가구, 호텔, 오피스, 상업시설 등을 조성할 계획으로 한화와 계룡건설 등이 컨소시엄을 꾸려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2021년 1월 대전역세권개발PFV를 설립했으며 한화는 지분 50%를 보유하고 있다. 고금리 등 건설불황으로 잠시 주춤했지만, 현재 한화가 서울역 북부역세권 복합개발사업을 이달 내 착공할 계획으로 알려지면서 내년도 착공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윤석열 정부가 약속한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대전은 역세권을 공공기관 이전 대상지로 보고 있어 원도심 개발에 큰 동력이 될 수 있다. 대전을 비롯한 전국 지자체들이 360개에 이르는 2차 공공기관 이전에 목을 매고 있다.
현재 정부는 1차 공공기관 이전 성과 평가를 토대로 2차 이전 로드맵을 구상하겠다며 혁신도시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범정부적인 움직임이 필요한 사업인데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1차 공공기관 이전 당시 2003년 정책구상이 발표된 뒤 이전 원칙 설정에 1년, 이전 기관 확정과 입지 선정까지 1년 반이 걸린 만큼 공공기관 2차 이전은 '물건너 간 것 아니냐'는 소리가 들린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의 기존 도심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대전역을 중심으로 성장해 왔으나, 2000년대 이후 신도심에 비해 성장세가 둔화한 것이 사실"이라며"이번 도심융합특구 조성 사업을 통해 대전역 중심의 기존 도심을 다시금 활성화하고, 시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변화와 성과를 창출해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