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21대 대통령선거가 53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11일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선거 관련 조형물이 설치돼 있다. [출처=연합뉴스 제공] |
대선 주자들의 출마 선언과 본격적인 활동이 펼쳐지는 가운데 지역에서도 지지세 확산을 위한 각종 움직임과 경선 체제 전환이 이뤄져 대선 분위기가 점차 달아오르는 모습이다.
50일 앞으로 다가온 조기 대선은 일정이 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원내 1·2당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을 확정했고, 각 당의 주자들도 대권 행보를 정하면서 대진표도 완성되어 가는 중이다.
충청에선 이장우 대전시장을 향한 관심이 높다. 충청의 위상 강화와 지역발전을 위해 지역 출신 대권주자의 필요성을 강조했던 만큼 이 시장이 충청을 대표해 대권 행보에 나설지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정치적 형제'와도 같은 김태흠 충남지사가 불출마를 선언한 뒤라 이 시장의 부담이 커진 것도 사실이다.
결단의 시간은 임박했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등록 기간이 14~15일임을 고려하면 이 시장이 곧 입장을 밝힐 것이란 관측이 유력하다. 이 시장은 주말 사이 공식 일정을 소화하면서 주변으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청취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이 시장은 김 지사가 불출마를 선언한 10일 중도일보 기자와 만나 "심사숙고해 결정하겠다. 대전발전에 어떤 결정이 도움되는지 생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노무현의 꿈을 이루겠다"며 13일 세종에서 대권 출사표를 던졌다. 노무현의 마지막 비서관인 김 전 지사는 이날 세종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입법, 행정, 국정 경험을 모두 갖고 있는 유일한 후보에게 기회를 달라"며 대권 도전을 공식화했다.
특히 그는 세종시로의 행정수도 완전 이전과 권역별 5대 메가시티 자치정부 수립, 지방의 자치권 명문화, 재정과 권한의 자율권 확대 등 충청을 비롯한 지역 중심의 국정 체제 변화를 강조했다.
지역 내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은 신임 부위원장단을 임명해 조직을 강화하는 한편 전·현직 지방의원 연석회의를 열어 대선 승리 방안을 논의했다. 박정현 시당위원장은 "다가올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해 대전시민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여론전에 주력하고 있다. 대전시당은 강형석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내 민주당이 가짜뉴스 대응을 위해 운영하는 '민주소방서'를 비판하고 나섰다. 시당은 "민주당이 또 다시 대국민 검열 장치를 꺼냈다"며 "허위정보 대응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실상은 그저 여론 통제 수단에 불과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전선거관리위원회가 대선 종합관리 지침 시달 회의를 열어 신속한 선거준비와 안정적 투·개표 관리를 위한 중점 추진과제와 방침을 시달하는 등 충청권 선거관리위원회도 대선 준비에 만전을 기하는 중이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