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교육
  • 사건/사고

"전문 훈련 없이 산불 현장"…대전·세종에 산불진화대원 훈련센터 조속 설립 필요

전문 교육체계, 훈련장 없어 산불 진화대원 실전 훈련 없이 이론 교육 위주
산림청 국립 산림재난안전교육센터 설립 추진 기재부 예산 미반영에 주춤
센터 조성 뿐 아니라 전문 교육체계, 지휘체계 개선부터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정바름 기자

정바름 기자

  • 승인 2025-04-13 17:44

신문게재 2025-04-14 2면

clip20250413123847
중도일보=DB
전국적으로 산불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나 전문 교육 체계와 진화 훈련장이 없어 산불 진화대원들은 1년에 10시간 이론교육만 듣고 화마 현장에 내몰리는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림청이 대전과 세종에 산불 진화대원 전문 교육장인 국립 산림재난안전교육훈련센터 설립을 추진 중이지만, 기획재정부의 예산 미반영에 지지부진해져 조속한 설립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3일 중도일보 취재결과, 전국 산불 전문 진화인력은 산림청 소속 공중진화대 104명, 산불재난특수진화대 435명, 산림청·각 지자체 소속 산불전문예방진화대 9604명이다. 앞서 산림청은 지난 3월 20일부터 4월 8일까지 20일간 경남과 경북 일대에서 이어진 대형산불로 산불공중진화대는 1인당 평균 9회 출동, 산불재난특수진화대는 1인당 평균 4회를 출동했다고 밝혔다.



문제는 매년 이러한 산불 피해가 늘고 있지만, 여전히 진화대원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부재하다는 것이다. 산불재난특수진화대와 예방진화대는 산림청 소속 산림교육원에서 2박 3일 직무교육, 특수법인인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에서 연간 10시간 기본 교육을 받는 것이 사실상 전부다. 이마저도 실전 훈련보다는 이론교육 위주인 것으로 파악됐다. 진화 훈련은 자체적으로 배우거나, 현장에 투입돼 익혀나가는 식이다.

지역에서 산불재난특수진화대원으로 활동 중인 A씨는 "특수진화대의 경우 채용되자마자 국유림관리소에 배치가 되는데, 산불이 나면 아무런 교육도 받지 못하고 바로 선배한테 인수인계만 받아 산불 현장에 투입된다"라며 "그 다음에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난 4~5개월 뒤에나 산림교육원에서 소집해 2박 3일 정도 교육을 한다. 산불방지기술협회 교육도 10년째 실전에 전혀 도움이 안 되는 초보적인 내용에 1년 차하고 10년 차 대원을 같이 놓고 교육을 하니, 경력 대원을 가르칠 만한 교육 과정 자체가 없다"라고 토로했다.

진화대원 전문 교육 필요성에 산림청은 2023년부터 국립 산림재난안전교육훈련센터 설립을 추진 중이다. 대전 유성구와 세종 일대 국유림에 교육동과 진화 전문 훈련을 위한 교육실습장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대부분의 교육은 대전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전체 실습장 면적은 16㏊ 규모다.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후 산림청은 지난해 올해 예산안에 기본설계비 9억 3000만 원을 책정했으나, 기재부에서 해당 예산을 반영하지 않아 추진이 주춤해진 상태다. 센터가 생긴다면, 연간 전국의 공중진화대, 특수진화대, 예방진화대원 등 전문대원 총 1만 143명이 지역에 방문하는 셈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진화연습, 방화선 구축, 중요시설 보호 등 산불진화대원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실습 훈련이 교육훈련센터에서 이뤄질 것"이라며 "올해 다시 추경에라도 기재부에 예산을 올릴 예정이고, 예산이 확보된다면 교과목, 교재, 교육 기간 등 전문대원 별 커리큘럼이 상세히 짜여질 예정이다. 늦어도 2028년에는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센터 조성이라는 하드웨어뿐 아니라, 진화대원 교육 훈련체계와 지휘체계 등 소프트웨어부터 먼저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신현훈 공공운수노조 산림청지회장은 "센터 조성 예산만 신경 쓰지 말고, 교육계획도 지금부터 같이 잡고 가야 한다"며 "산림청에서는 공무원이라는 이유로 공중진화대원을 공무직인 특수진화대 교관으로 쓰려고 하는데, 엄연히 공중진화와 지상 진화는 다르다. 지난번 산청 산불현장에서 본래 업무도 아닌 지자체 소속 공무원이 투입됐다가 사망한 사고도 있었는데, 지금은 통합적인 지휘본부가 없어 산림청, 지자체, 소방 각각 움직이다 보니 문제가 생기고 있어 지휘체계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