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행정
  • 대전

[중구의 위기, 원도심 블랙홀] 주거와 문화, 경제 아우르는 대전 중구 대표 유통상권 균형 무너진다

①향토브랜드 '백화점세이' 매각 확정 일파만파
경제 대이동 예고, 주거단지에 또 주거 초과밀 우려
충남도청 내포 이전 후폭풍 원도심공동화 반복되나

이해미 기자

이해미 기자

  • 승인 2022-05-01 17:00

신문게재 2022-05-02 1면

충남도청이 내포 신도시로 이주하면서 대전 중구 일대 주변 상권이 몰락했던 때가 있었다. 이른바 원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중구 전체가 타격을 입었고 현재까지도 완전히 회복되지 않고 있다. '원도심 살리기'는 여전히 대전시의 현안에서 빠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또다시 중구에서 심상치 않은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3년, 너무 빠르게 변하고 팽창하는 온라인 시장의 위세가 중구를 암흑으로 빨아들이는 모양새다. 여기에 1997년 개점해 굳건하게 대전 유통업계의 자존심을 지켜왔던 백화점세이 매각 확정은 중구는 물론 어쩌면 대전 전체의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의 시선을 지울 수 없다.

중도일보는 네 번의 기획시리즈 '중구의 위기, 원도심 블랙홀'을 통해 백화점세이 매각 여파와 자본주의 도시계획의 폐해, 지방선거 앞 지역균형발전 공약까지 점검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향토브랜드 '백화점세이' 매각 확정 일파만파
②중구 백화점 0곳, 대표적 힐링상권 사라진다
③이미 완성된 주거타운에 또 집을 짓는다고?
④원도심 공동화 막을 지선 공약은 없나요

백화점세이 매각 후폭풍 전조현상이 거세다. 대전에서 자생한 향토브랜드의 퇴장이 주는 씁쓸함은 물론이고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되는 유통시장 변화에 지역상권이 흔들리고 있다는 방증처럼 다가온다.

세이 매각은 단순히 백화점 폐점으로만 볼 수 없다. 주거와 문화, 경제 그리고 행정까지 모든 영역에서 그동안 유지됐던 균형이 무너지는 것으로 원도심 공동화 현상의 또 다른 시발점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분석이다.

2022021601000974900034071
백화점세이가 사라지면 중구 아니 원도심 전체에서 제대로 된 백화점 점포는 0곳이다. 중구 중앙로 NC백화점이 골든하이를 품으면서 유성 이전을 확정했는데, 세이마저 문을 닫으면 중구를 비롯한 원도심 주민은 서구와 유성구에 밀집된 백화점을 찾아 이탈할 수밖에 없다. 백화점과 시너지 효과를 냈던 대형마트 그리고 주변 소상공인이 받을 타격도 상상 이상이다. 극단적으로 중구 경제의 동맥경화까지 우려되는 대목이다.

주거 시장도 당혹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세이 부지에 주상복합이 들어설 가능성이 제기됐는데 서대전공원-백화점-마트로 이어지는 중구의 대표적인 유통과 힐링 상권이 주거 초과밀 지역으로 전락할 수 있어서다. 문화동과 오류동, 태평동과 유천동, 산성동, 목동과 용두동 등 중구에 사는 시민 대부분의 한숨이 커지는 이유다.

박계관 대전과기술대학교 금융부동산행정과 교수는 "중구민 3분의 1 이상이 밀집된 곳이 백화점세이 인근이다. 세이가 문을 닫으면 일자리 감소 여파로 슬럼화가 우려된다"며 "소비패턴 대이동과 인구 감소까지 더해져 중구의 재정자립도마저 늦어질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주상복합이 들어온다 하더라도 기존 백화점의 시설을 포함한 설계가 고려되지 않으면 원도심 공동화를 막을 수 없다. 이 사태를 심각하게 바라봐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백화점세이 매각 전후 문제를 감지 못한 대전시와 중구청, 중구 정치인들의 안일한 태도를 비판하고 있다. 백화점세이 존립 문제는 둘째로 보더라도 지역 내 필수시설 유지 그리고 도시계획 전반을 그려내지 못한다는 일갈이다. 그렇기에 민선 8기에 도전장을 던진 대전시장과 중구청장은 물론 지방의원 모두 원도심 공동화 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적인 공약을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중구청 고위 관계자는 "세이 매각은 아쉽지만, 이 상황을 새로운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대전시와 광역 개념에서 문화와 상권, 주거를 완성하는 계획으로 공동화 현상을 막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