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시사오디세이

[시사오디세이] 정치권력과 고고학은 거리가 멀수록 좋다

박양진 충남대 고고학과 교수

윤희진 기자

윤희진 기자

  • 승인 2022-10-24 08:45
박양진 충남대 고고학과 교수(시사오디세이)
박양진 교수
북한의 평양시 강동군 문흥리의 대박산 기슭에는 이른바 ‘단군릉’이 있다. 한 변 길이 50m의 정사각형 평면과 높이 22m의 9단의 계단식 피라미드 형태인 이 무덤은 고고학적으로나 역사적으로 현대 건축물이다. 중국 지린성 지안시에 있는 고구려 장군총의 형태를 모방·확대해 1,994개의 화강석으로 1994년 북한이 개건(改建)한 것이다.

이 현대 단군릉의 내부 무덤 칸에는 단군과 그 아내의 유골이 안치돼 있는데, 이는 오랫동안 단군릉으로 알려져 왔고 이미 도굴된 적이 있는 강동군의 한 무덤에서 북한 고고학자들이 발굴했다고 1993년 10월 발표한 것이다. 이 무덤은 비록 고구려 시대에 유행했던 석실분 형태이지만, 그곳에서 출토된 인골은 '전자상자성공명법'이라는 과학적 측정 방법을 통해 5000년 전의 유골로 판정됐고, 따라서 단군과 그 아내의 뼈임이 현대과학에 의해 증명됐다고 북한은 주장한다.

평양 단군릉의 발견과 조사, 개건은 북한 정권의 전폭적인 지시와 지원으로 이뤄졌다. 북한의 김일성은 1990년대초 단군 관련 유적의 중점 조사를 고고학자들에게 지시했고, 1993년 '단군릉'의 발굴 현장도 직접 방문해 출토된 이른바 단군의 유골을 살펴봤다. 1994년 김일성이 사망한 후 현대 단군릉이 완성되자 10월 개건 준공식을 거행했고 직후 김정일도 직접 이 현대 단군릉을 방문했다.



평양의 단군릉 발굴은 고고학이라는 학문의 힘을 빌려 신화의 주인공을 역사적 실존 인물로 바꾸었고, 그 증거로 과학적 연대측정법을 거론하고 있다. 우리 민족의 건국 시조 단군은 5천 년 전에 실존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무덤 소재지가 평양임을 과학적으로 밝혀내 한민족 역사의 중심은 단군부터 현대 북한 정권에 이르기까지 평양에 위치했음을 알려주는 것이라고 북한은 주장한다.

21세기에 들어와 북한의 고고학과 역사학은 평양을 중심으로 하는 대동강 유역이 세계 최초의 국가 발상지, 고대 문명의 발상지의 하나임을 주장하면서 고대 성곽과 취락, 무덤, 청동기 등의 고고학 유적과 유물을 그 증거로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단군릉과 대동강 문명 등의 주장은 이미 학문적 연구 영역을 벗어나 북한 정권의 정치적 선전과 역사적 이데올로기의 일부가 됐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중국에서도 고고학과 고대사에 대한 정치적 개입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중국 최고의 권력 기관인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이 2020년 9월 제23차 단체 학습을 진행했는데, 시진핑 총서기가 참석해 중국 특색과 중국 풍격, 중국 기백의 고고학을 건설해 중화문명을 인식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홍보할 것을 주문했다. 2022년 5월의 제39차 단체 학습에서는 중화문명 탐원공정의 심화와 관련된 주제를 다뤘는데, 시진핑이 또다시 직접 회의를 주재하면서 중화문명 연구의 중요성과 중국고고학의 역할을 강조했다.

절대 권력을 가진 정치인이나 집단이 고고학이나 역사학에 관심을 가질 때 전폭적인 각종 지원을 통해 학문이 일시적으로 발전하는 것처럼 보일 수는 있다. 하지만 연구의 정치적 활용이라는 부작용을 피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정치적 목적에서 자유로운 최소한의 학문적 논의와 토론, 평가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정 주제나 지역에 대한 편향 지원은 건강하고 균형잡힌 학문의 발전을 가로막는다.

그 폐해가 앞에 거론한 사례만큼 크다고 할 수는 없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정권이나 정치인이 고고학, 역사학 조사와 연구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가 적잖게 있었다. 백제의 무녕왕릉이 도굴되지 않고 우연히 발견돼 백제 문화의 우수성이 알려지자, 박정희 대통령은 그때까지 온전하게 잘 보존되고 있는 신라 왕릉 가운데 가장 큰 고분을 발굴해 신라 문화가 더 우수함을 보여주라고 지시했고, 그 결과 경주의 천마총과 황남대총이 발굴됐다. 박근혜 대통령 시절에는 신라 월성의 전면 조사와 복원이 추진됐다가 다행히 여러 이유로 지연됐다. 문재인 대통령 시기에는 가야 고고학과 역사에 대한 집중 지원이 그동안 부진했던 연구를 진작시키는데 일부 기여했지만, 졸속 추진과 전시 행정의 부작용도 발생했다.

고고학과 역사학 등의 학문은 정치적 어젠다와는 거리가 멀수록 바람직하며 우리 역사나 문화유산에 관심이 있는 정치인이라면 적극적으로 지원하되, 연구 주제와 내용, 결과에 대해서는 전혀 간섭하지 않는 기본자세가 필요하다.

/박양진 충남대 고고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