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세상읽기

[세상읽기]그해 여름

황미란 편집부장

황미란 기자

황미란 기자

  • 승인 2024-08-01 09:44
  • 수정 2024-08-01 09:53
내사진-칼럼
황미란 편집부장
나른한 오후, 장독대에 큰 대자로 눕는다. 온돌방처럼 달궈진 시멘트 바닥, 뜨끈뜨끈 시원하다. 머리 맡 스댕 세숫대야에선 애벌빨래를 마친 아버지의 메리야스가 환골탈태를 기다리고 있다. 이글대는 햇볕의 성화에 보글보글 솟아오르는 물방울들, 빨랫비누 냄새가 코끝을 스친다. 눈을 들어 하늘을 본다. 집 울타리 터줏대감인냥 수십년째 자리를 지키고 있는 밤나무와 대들보를 연결해 묶어 논 빨랫줄. 일곱식구 옷가지들이 나폴나폴 정답다. 대나무로 만든 장대가 힘껏 줄을 하늘로 들어올린다. 긴 장마끝 하늘은 더없이 맑고 푸르다. 하얀 몽실구름 사이로 고추잠자리가 철없이 노닌다. 맴맴맴, 맴맴맴…. 오래된 밤나무에서는 매미들이 리드미컬하게 장단을 맞춘다. 지금도 생생하게 그려지는 여름날의 추억.

눈코 뜰새 없었던 오전을 보내고 점심 먹으러 가는 길. 한여름 땡볕을 피해 걷는 오래된 아파트 단지 호젓한 샛길. 아름드리 나무사이로 보이는 풀꽃들. 풍경을 눈에 담는다. 매미소리가 귀청을 때린다. 쓰릅쓰릅, 쓰르르릅…. 마치 인정사정 없이 퍼붓는 소나기 같다. 오만상을 찌푸리며 밉상매미를 질타한다."저놈들은 지치지도 않는가봐", "요즘은 밤낮없이 울어대는 통에 못살겠다", "여기 사람들은 여름에 문도 못 열어놓고 어떻게 사냐" 급기야 숲세권에 살아서 좋겠다며 부러워하던 주민들 걱정까지 쏟아낸다.



매미들이 독해졌다. 단 5%, 유충에서 성충으로 자란 매미는 초복 무렵 땅을 뚫고 세상으로 나온다. 땅 속에서 7년, 땅 위에서 한 달, 사랑을 찾은 후 7일. 어찌보면 길고, 또 어찌보면 짧디짧은 삶을 살고 장렬히 전사한다. 땅위의 시간은 단 한가지 목적을 위해 서다. 수컷매미는 암컷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 울림통을 울려댄다. 사랑의 세레나데. 그들 중 약 30%만 대를 잇게 된다고 하니, 짝짓기에 성공한 매미는 복많은 매미다. 나머지는 천적의 먹이가 되거나 홀로 외로이, 또 처절하게 울부짖다가 생을 마감한다. 공공의 적, 어쩔수 없다. 사랑의 노래건, 통한의 외침이건, 그 요란함이 기차소리와 맞먹는다고 하니 사람들의 원성을 사는 것은 당연한 일. 온도와 빛이라는 두 가지 조건이 맞아야 소리를 내는 놈들. 지구온난화로 더 뜨거워진 여름, 휘황찬란한 불빛 탓에 낮밤을 잊은지 오래다. 매미도 사람도 잠못드는 여름 밤.

억울하다, 매미는. 옛 사람들에게 추앙받던 귀하신 몸, 어느새 천덕꾸러기가 됐다. 불교에서는 굼벵이가 땅위로 올라와 허물을 벗고 매미가 되는 모습을 보며 '해탈(解脫)'을 이야기 했고, 도교에서는 껍질을 벗고 새로운 몸을 얻는 다하여 '재생(再生)'을 상징했다."매미는 머리에 주름이 있어 우아하고(文), 이슬을 먹고 사니 맑고(淸), 남의 곡식을 탐하지 않는 염치가 있으며(廉), 집이 없으니 검소함(儉)이 있다. 여기에 늘 때에 맞춰 행동하는 믿음(信)까지 있다." 중국 진나라 시인 육운은 한낱 보잘것 없는 곤충이지만 군자가 갖춰야할 5덕(德)이 있다며 칭송했다. 조선시대에는 임금과 관료들의 모자에 매미 날개를 달았다. 늘 곁에 두고 본받으라는 깊은 뜻이다. '221년만의 매미겟돈' 최근 미국에서는 최대 1000조 마리의 매미떼 출현이 예고된 가운데 그 대책으로 매미음식 경연까지 벌였다고 한다.그중에서도 한국계 셰프의 '매미김치'가 핫했다고 하니, 5덕에 식(食)덕을 더해야 할 것 같다.

쏴쏴~ 쏴쏴아악~ 있는 힘 다해 토해내는 강렬한 절규. 한 시인은 "여름이 뜨거워서 매미가 우는 것이 아니라 매미가 울어서 여름이 뜨거운 것이다"라고 했다. 제 할일에 최선을 다한 뜨거운 삶. 오늘을 되돌아 본다. 종이컵을 들었다 다시 내려 놓는다. 책상 위 쓰지 않는 플러그를 슬그머니 뽑는다. 매미소리가 평화로운 그날이 다시 올까? 그랬으면 좋겠다. 편집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