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 충북

충주 한국교통대-충북대 통합 '삐걱'…합의 5일 만에 내홍

충북대 학장협의회 "동수 총장추천위, 잠재적 불씨" 반발
통합 주도권 강화 의도 시사…"절차적 하자" 들며 합의안 수정 압박

홍주표 기자

홍주표 기자

  • 승인 2024-12-04 09:29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
국립한국교통대학교와 충북대학교의 통합 과정에 예상치 못한 제동이 걸렸다.

양 대학의 통합 합의가 이뤄진 지 불과 5일 만에 충북대 학장협의회가 총장 선출 방식 등을 문제 삼으며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충북대 학장협의회는 3일 입장문을 통해 "대학의 지배 구조를 결정하는 총장의 선출 문제를 두 대학이 동수로 구성하는 총장추천위원회에 미루어 잠재적 불씨를 남겨 두었다"며 현재 합의안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는 통합 대학의 총장 선출 과정에서 한국교통대와 동등한 권한을 가지는 것에 대한 불만으로 해석된다.

더욱이 학장협의회는 "교직원들과 어떠한 논의도 이뤄지지 않은 채 합의가 진행됐다"며 통합 추진 과정의 절차적 정당성 문제도 제기했다.

특히 "지난달 28일 공청회와 26일 교직원 결정 과정에서도 내용이 전달되지 않았다"며 현 총장의 독단적 결정을 비판했다.

현재 합의안에 따르면 통합대학의 교명은 '충북대학교'로 확정됐고, 대학본부도 청주에 두기로 했다.

반면 한국교통대는 충주캠퍼스에 산학협력단본부와 RISE사업단, 균형발전추진센터 등을 유치하고, 총장 선출은 양 대학이 동수로 구성한 총장추천위에서 결정하기로 했다.

학장협의회는 또 "통합협상안과 부속합의서에는 심각한 독소조항들이 들어 있다"며 "교원 이동, 캠퍼스별 학생 정원 유지 및 감축과 재정배분 등에 의하면 이름만 통합일 뿐 무엇을 위한 통합인지 알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통합 교명과 대학본부 위치에서 이미 우위를 점했음에도 총장 선출 방식에까지 불만을 제기하는 것은 충북대 학장협의회가 통합 과정에서 더 강력한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학장협의회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총장의 사과와 함께 통합협상안 및 부속합의서에 대한 구성원들의 의사 확인 절차를 요구했다.

이들은 "이러한 사항이 이행되지 않을 경우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사태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총장에게 있다"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한편 양 대학은 2025년 행정 통합을 시작으로 2027년 3월 공식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 합의 직후 터진 이번 사태로 향후 통합 과정에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특히 충주지역에서는 이를 계기로 한국교통대의 정체성과 자율성이 더욱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