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비상계엄 시대에 부당한 명령에 저항하고 국민을 생각한 군인들의 묘역. (사진=임병안 기자) |
7일 오후 찾아간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립대전현충원은 대통령 탄핵소추안의 국회 표결을 앞두고 시민들의 거리집회가 개최돼 온 나라가 혼란한 것과 대조적으로 평소처럼 침묵의 세계가 펼쳐졌다. 1982년 첫 안장을 시작으로 지난 42년간 사병과 장교, 경찰, 애국지사, 사회공헌자까지 나라를 지키고 크게 봉사한 10만 명이 넘는 영령이 모셔졌다. 오랜 기간 숲은 우거지고 묘역은 잘 관리되면서 유가족만큼이나 일반 시민들이 마음과 몸을 가다듬기 위해 찾는 성지가 됐다.
이날 오후 2시쯤 찾은 대전현충원은 영하 2도의 찬바람 속에서도 현충원 가장 안쪽에 있는 장군1~2묘역까지 참배객들의 발길이 닿고 있었다. 중년의 한 부부는 장군1묘역을 걸으며 묘비에 새겨진 이름과 직책을 하나씩 입으로 읊었는데 최근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 군 장성들의 인터뷰가 잇달아 보도되며 역사를 돌아보려 찾아온 참배객으로 보였다.
기자가 찾은 장군1묘역 100개의 계단을 모두 오른 지점에서 이구호(1933~1999) 준장의 묘역을 만나게 된다. 1980년 광주 육군기갑학교 교장이면서 황영시 육군참모차장으로부터 전차를 동원해 광주 5·18시민을 진압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광주시민이 적군이 아닌데 어떻게 시민을 향해 발포하란 말이냐"고 지시를 정면 거부한 참 군인이다. 그는 전역 후 한국산업인력공단 대전직업훈련원장을 지냈다.
같은 장군1묘역에서 몇 걸음 옮겨 안종훈(1926~2002) 육군 중장의 묘비 앞에서 잠시 숨을 고른다. 1980년 5·18 전날인 17일 전두환 신군부가 국회를 무력화하고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려 개최한 국방부의 전국주요지휘관 회의에서 참석자 44명 중에 유일하게 "국민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라며 계엄의 전국 확대에 제동을 걸었던 군인이다. 육해공군 주요 지휘관들이 대부분 계엄확대에 이견이 없다는 발언을 한 가운데, 안종훈 육군군수사령관은 국민의 합의에 의해 해야하는데 시기상조라며 반대했다. 이날 지휘관 회의에서 결국 작성돤 서명은 결의안에 첨부되어 이날 밤 긴급 소집됐던 국무회의에도 제출돼 5월 17일 24시를 기해 비상계엄 선포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했고, 정치활동과 집회 및 시위를 금지하는 포고령 10호가 발효됐다.
보훈둘레길을 따라 15분쯤 걸어 닿는 장군2묘역에서 윤흥기(1933~2013) 육군 소장은 1993년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을 비롯한 1979년 12·12군사반란 동조자들을 고소함으로써 '역사바로세우기'의 계기를 제공한 22명의 고소인 중 한 명이다. 그가 고소장의 초안을 작성한 것으로 전해진다. 끝으로 장군2묘역 132호 묘비에서 장태완(1931~2010) 수도경비사령관을 만날 수 있다. 그는 12·12군사반란 때 신군부 세력에 맞섰고, 당시 육성기록을 확인해보면 "너희한테 선전포고다 인마! 난 죽기로 결심한 놈이야"라고 회유를 일축하고 반대로 일갈했다. 그의 묘비에는 "정의로운 군인 시류에 영합하지 않고 죽음을 무릅쓰고 임무를 완수한 참 군인 편안하게 영면하소서"라고 기록되어 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