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들
  • 뉴스

성락종합사회복지관 개관 33주년 맞이 상생포럼 ‘재개발 속 주민복지, 공존을 그리다’

1부 상생포럼, 2부 마을톡톡회의
지역 공동체 보전을 위한 포용적인 마을 만들기

한성일 기자

한성일 기자

  • 승인 2025-03-28 20:48
개관기념 사진 (1)
‘재개발 속 주민 복지, 공존을 그리다’

성락종합사회복지관(관장 이경화)은 개관 33주년을 맞아 개관기념일인 3월28일 오후 2시 성락종합사회복지관 4층 비전홀에서 ‘재개발 속 주민복지, 공존을 그리다’를 제목으로 성락종합사회복지관과 더불어 사는 삶 그 첫번째 이야기, 개관 33주년 상생포럼을 개최했다.

최근 지역에서 가장 큰 이슈인 재개발을 주제로 한 이날 상생포럼은 염인섭 박사(대전세종연구원)가 ‘지역공동체 보전을 위한 포용적인 마을만들기’를 주제로 발제했다.



염인섭 박사는 “재개발이 진행 중인 용두동을 넘어 중구와 대전시로 지역을 확대해 포용적인 도시를 만들려면 시민들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발제에 이은 토론에서는 대덕대 사회복지학과 김구 교수와 대중한의원 최창우 원장이 패널로 참여했다.

개관기념 사진 (2)
사진 왼쪽부터 패널로 참여한 대덕대 사회복지학과 김구 교수, 대중한의원 최창우 원장, 발제자 염인섭 대전세종연구원 박사.
1부 상생포럼에 이은 2부 마을톡톡회의는 마을도시연구소(대표 김윤정)와 함께 퍼실리테이션(효율적인 의사소통과 협력을 도모해 의사결정, 문제 해결, 회의 및 워크숍 등을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돕는 과정) 형식으로 50여 명의 주민들과 함께 '우리마을에서 주로 이용하는 공간’을 주제로 서로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통해 지역에서 사회복지관이 갖는 의미와 소중함을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상생포럼에 참석한 김제선 중구청장은 “복지관이 없어지는 재개발은 중구에서는 하지 않겠다”며 “다만 용두동 지역이 낙후되어 재개발은 필요한 상황이니 재개발조합과 복지관 측이 시간이 다소 걸리겠지만 잘 협의를 통해 서로 공존할 수 있는 재개발이 진행되었으면 좋겠고 중구청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개관기념 사진 (3)
김제선 중구청장이 용두동 재개발이 복지관과 공존하는 재개발이 되었으면 좋겠다며 중구청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화 성락종합사회복지관 관장은 “현재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용두동 3구역 재개발정비사업에 포함돼 철거 위기에 있지만 이번 상생포럼을 계기로 재개발과 주민복지권이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을 더 많은 지역주민과 나누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관장은 이어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은 앞으로도 재개발과 관련된 주민 의견 청취와 포용적 마을 만들기를 위해 계속 지역에서 노력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