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중도일보 DB. |
다음 주 세종정부청사 앞에서 예고된 4·14 '기후정의 파업'은 그동안 서울에 집중된 대규모 기후정의행동이 지역에서 처음으로 열린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 기후정의 파업에 참여하는 시민들은 천정부지로 오른 가정용 전기·가스요금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기후정의파업 조직위원회 관계자는 "전기 사용량 중 가정용은 15%에 불과하고 산업용 전기가 53%를 차지한다"며 "그런데 에너지 절약을 이유로 가정용 전기요금이 고공행진하는 동안, 10대 대기업들은 최근 5년간 4조 2000억 원에 이르는 전기요금 할인 혜택을 받았다"고 비판했다. 시민들도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대전에 사는 송순옥씨는 "정부와 기업의 의지 없이, 개인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건 한계가 있다"며 "이날 시위에 참여해 친자본 정책을 펼치는 정부를 압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달 21일 2030년 산업부문 온실가스감축목표치를 14.5%에서 11.4%로 낮췄다.
기후위기에 대한 시민들의 열망이 커지고 있지만, 지역 기업의 준비는 많이 부족하다. 중소기업중앙회 대전세종충남본부 관계자는 "지역 기업들은 규모도 작고 제조업이 타 시도보다 적어 탄소 배출 절감이 크게 이슈가 되고 있진 않다"고 했다.
대전산업단지 관계자도 "불경기가 계속되며 온실가스 감축에 신경 쓸 여력이 없다"며 "기업인들 사이에서 (탄소배출 등이) 크게 논의가 되고 있지 않다"고 했다. 지역 중소기업인들의 인식을 개선하고 탄소배출 저감을 독려하기 위한 지원도 필요해 보인다. 대전 상공회의의소에선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ESG 지원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스마트공장 시스템 도입, 화석연료 감축과 재생에너지 확대, 외부감사를 통한 회계 투명성, ESG 경영 컨설팅을 제공한다.
대전상공회의소 관계자는 "ESG 경영이란 개념이 포괄적일 뿐만 아니라, ESG경영교육점수제를 일정 수준 유지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ESG 교육과 컨설팅, 전문가 연계를 돕고 있다"고 했다.
경제단체들은 국제시장에서 탄소배출 관련 수출 규제가 강화되는 만큼 산업구조 개편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이광진 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위원장은 "국내에서 가장 탄소배출을 많이 하는 곳은 발전소이며, 발전소 에너지의 절반을 산업계에서 쓰고 있다"며 "탄소 배출과 관련해 외국 수출 규제가 강화되며 에너지 다소비, 저임금에 기초한 현재 산업을 개편하지 않으면 우리나라는 후진국으로 밀려날 것"이라고 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