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사설

[사설] 서울 충남학사 건립은 잘한 일

  • 승인 2015-10-26 18:12

신문게재 2015-10-27 23면

재경 충남학사 신축이 가시권 안에 들어왔다. 안희정 충남지사와 도내 15개 시·군의 시장·군수의 태안 토론회에서 그 물꼬가 트였다. 조속한 시일 내 건립한다는 뜻을 모아 2018년 초 300명 정원 규모로 문을 연다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다. 숙원으로만 맴돌던 충남 출신 대학생의 기숙사 신축이 추진 동력을 얻어 다행스랍다.

논의가 급물살을 이룬 결정적인 키는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 차원에서 선도적으로 지원 의사를 밝힌 데 있다. 건립 재원은 장학기금과 시·군 추가 충당금 등으로 확보한다고 한다. 예산 타령이나 하고 계획만 매만지던 종전의 방식을 고수했다면 이런 결과물을 도출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재경 학사의 필요성과 당위성은 한둘이 아니다. 우선 꼽을 것은 지역 출신 대학생의 주거난 해소와 재정적 부담 경감이다. 서울 유학생들은 수도권 전·월세 급등으로 학사가 있는 다른 지역 학생보다 3~4배의 경제적 부담을 감수한다. 충북학사 입사를 문의하는 대전·충남 대학생이 많다는 안타까운 사실이 그 실상을 대변해준다.

일부에서는 인재 유출의 가속화 우려를 학사 건립에 소극적인 이유로 들지만 이는 한 단면만 본 것이다. 역할과 기능을 따져보면 학사 운영의 단점을 거뜬히 커버하고도 남음이 있다. 재학 중의 자긍심은 졸업 후 지역 귀속감으로 작용한다. 장학사업 또는 교육복지에서 출발해 충청 발전을 견인할 중앙 인재로 키운다면 지역 응집력 등 정치적인 의미 부여까지 가능하다.

다른 지역의 인식도 대개 비슷하다. 수도권인 경기도마저 경기도장학관을 운영하며 추가 건립을 추진 중이다. 광역 단위 학사가 있는 영·호남의 상당수 기초단체들은 자체 재경 기숙사를 운영한다. 제2 남도학숙까지 추진 중인 광주·전남의 사례는 본보기다. 대전·충남 공동 학사에 대한 아쉬움은 여기서 일단 접어둬야겠다.

충남학사를 통한 지원은 자연스레 지역 인재의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대전시도 재경 학사 건립에 적극성을 보였으면 한다. 지역 출신 대학생의 서울 기숙사가 없는 세종시도 다를 바 없다. 지역 인재 육성 강화의 한 형태라는 보다 대국적인 입장을 가져야 한다. 출향 경제인들도 고향 학사 건립에 대한 지자체의 행보에 화답하길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