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취업 대책 '껍데기'는 가라

쏟아지는 고용정책과 사업, 전문성 제고 등 '내실' 다져야 정부·지자체 추진사업만 285개… 예산·인력 부족해 운영 역부족

오희룡 기자

오희룡 기자

  • 승인 2016-02-24 15:42

신문게재 2016-02-25 12면

●대학 취업 지원센터를 진단하다


청년 실업률은 고공행진중이다. 지난해 실업률은 3.6%를 기록했지만 청년실업률은 9.2%로 외환위기 이후 사상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올해 1월 청년실업률은 9.5%로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직장을 구하는 취업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포함한 '체감실업률'은 11.6%로 지난해 3월 11.8% 이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문제는 계속된 경기 불황에 임금 피크제가 도입되면서 청년들의 일자리 구하기는 더욱 어려워 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청년취업난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현재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청년고용 정책과 사업은 140개와 145개로 총 285개에 달한다. 4년제 대학이나 전문대학에 다니는 학생의 취업을 지원하는 정책들도 청년고용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좀처럼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청년 실업률 대책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대학취업지원역량 강화연구'를 통해 제시한 취업 지원 정책과 대학의 취업 지원센터 현황을 통해 알아본다. <편집자 주>

▲청년 고용정책 일환으로 추진중인 대학재정지원사업=정부의 각종 재정지원정책의 핵심 키워드는 결국 청년고용이다.

교육부의 '대학교육 특성화사업',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육성사업' 등 모두 청년고용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대학과 학생 개인을 대상으로 취업지원 서비스 사업도 추진되고 있다.

'대학교육특성화사업'은 대학간 비교우위에 있는 분야 지원을 집중함으로써 학부교육을 내실화하고 이를 통해 고등 교육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이다.

'특성화전문대학대학 육성사업'은 특성화 전문대학을 육성해 매년 지식기반산업 및 창조경제의 핵심 전문직업인 15만명을 양성하기 위한 사업으로 전국 전문대학중 기관평가 인증을 받은 대학이 대상이다.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은 산학협력을 통해 산업 수요에 부응하는 대학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대학과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을 육성하는 사업이다.

이 밖에 대학의 취업지원서비스를 위한 정부 지원 사업도 추진중이다.

고용노동부의 취업지원관 사업과 대학청년고용센터 운영, 대학창조일자리센터, 여성가족부의 여대생커리어개발지원사업, 부산시의 대학생 취업 역량 강화 사업등은 대학을 대상으로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의 청춘순례와 동영상 멘토링 팟캐스트, 여성가족부의 사이버멘토링 등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취업 지원 서비 프로그램이다.

▲정부 지원금 의존하는 대학 취업지원센터=각 대학마다 재학생고 졸업생들의 취업 지원을 위해 취업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인력과 예산이 적어 제대로된 운영이 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크다.

실제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대학취업지원역량 강화연구'에 따르면 대학 취업지원관련 조직이나 부서는 평균 1.6~1.7개이며, 취업지원 조직이 1개인 경우가 전체 대학의 2/3를 차지했다.

취업 전담교수는 평균 7명, 전담직원은 4년제 대학이 5.8명, 전문대학이 3.4명이다.

교비가운데 취업지원부서의 운영예산이 취업지원부서의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년제 대학이 72.1%, 전문대는 53.9%로 나타난 가운데 취업지원부서의 운영예산이 전체 교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년제 대학 1.475%, 전문대학 1.490%로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결국 교내 예산 투입보다는 정부 등 외부의 지원금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시 과도한 행정업무로 인해 관리 여력이 부족하다는 점도 지적돼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올랐다.

학생들의 취업 지원서비스 활용역시 인ㆍ적성 검사 등 직업심리검사와 진로, 취업관련 교과목의 참여자 비중이 가장 높았지만 50%를 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담인력 전문성 확보하고, 취업관련 프로그램 내실화해야=계속된 청년실업에도 불구하고 대학들의 취업 지원은 여전히 정부의 예산에 의존하고, 지원 부서 인력도 적다.

여기에 취업지원전담 인력의 전담인력의 전문성도 확보하기 어려운 구조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학 취업지원 인력의 전문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취업지원센터 직원이 직업상담사나 창업지도사, 평생교육사 같은 전문자격 보유 의무화도 한 방법으로 제시됐다.

또한 정부부처 혹은 대학취업 관련 유관기관, 대학취업관련 협회나 단체에서 대학취업지원센터 인력을 대상으로 한 양질의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해 직무전문성을 향상시키고 각 대학 취업지원센터 직원들간 네트워크 기회 제공도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더 많은 학생들이 더 많은 취업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대학의 취업관련 프로그램을 내실화하는 것도 과제다. 이를 위해 산업수요 및 맞춤형 취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장기 현상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이력 관리를 위해 대학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이수한 과목, 참여한 취업관련 프로그램, 자격 강좌 등을 담은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제작하고, 졸업후에도 일대기 형태로 관리할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

취업친화형 학사제도 개편도 시급하다.

학교, 단과대학, 학부, 학과별 취업교과목 운영을 위무화하고, 전공별 취업 심화과정과 트랙제 운영도 필요하다.

또한 대학과 노동시장의 연계를 위해 현장실습과 인턴십 등 일경험 기화를 확대하고, 대학과 노동시장 연계를 위해 대학이 주요 유관기업들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화 해 관리하는 것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