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우난순의 필톡

[우난순의 필톡] 보문산에서 벌새를 봤다니까요?

우난순 기자

우난순 기자

  • 승인 2019-08-21 13:38

신문게재 2019-08-22 22면

벌새
지난 주 금요일 아침 보문산에 갔습니다. 제가 늘 찾는 곳입니다. 막 산에 오르는데 이슬비가 내렸습니다. 우산을 받쳤지만 맘 같아선 비를 맞고 싶었습니다. 어찌나 예쁘게 내리던지요. 촉촉해진 땅과 물을 머금은 나무들이 생명의 기를 내뿜었습니다. 새들의 지저귐과 진초록의 나뭇잎들에 떨어지는 빗방울 소리가 달콤한 밀어처럼 들렸습니다. 비가 멈추자 숲은 또 하나의 명장면을 연출했습니다. 뽀얀 안개가 숲을 감싸기 시작하더군요. 안개는 나무와 나무 사이에서 휘몰아치면서 뱀처럼 나무를 휘감고 올랐습니다. 숲의 정령이 잠에서 깨어나는 겁니다. 신비로웠습니다. 안개는 숲의 모습을 더욱 또렷하게 보여줍니다. 나뭇가지의 거미줄은 미세한 물방울이 매달려 마치 비단 실로 짠 그물 같았습니다. 숲은 살아있는 생명체입니다. 인간처럼 말을 해야만, 두 발로 걸어야만 살아 있는 게 아닙니다.

드디어 시루봉에 올랐습니다. 정자 옆엔 이름을 알 수 없는 꽃이 만발했는데 향기가 진했습니다. 그런데 말벌 한 마리가 꽃 사이를 날아다녔습니다. '말벌도 꿀을 먹나?' 의아해서 자세히 들여다봤습니다. 맙소사! 벌새였어요. 믿어지지 않아 눈을 비비고 또 보았습니다. 분명히 벌새였습니다. 크기도 그렇고 황금색이어서 영락없이 말벌인 줄 알았지요. 저는 몇 백만년 전의 화석을 발견한 것처럼 놀라서 어쩔 줄 몰랐습니다. 1초에 날갯짓을 90번이나 한다는 벌새. 정말 선풍기 날개 돌아가듯 날개가 안 보이더군요. 벌새는 바늘처럼 기다란 부리로 꿀을 빨았습니다. 초고속으로 날갯짓하면서 말입니다. 흥분을 누르고 조심조심 스마트폰을 눌렀습니다. 그런데 벌새가 갑자기 제 품안에 들어왔다가 다시 꽃으로 갔습니다. 짜릿했습니다. 벌새가 제 존재를 알았을까요? 그 사이 한 할아버지가 트로트메들리를 크게 틀어놓고 옆에서 맨손체조를 해서 깜짝 놀랐습니다. 할아버지에게 조그만 소리로 음악을 꺼달라고 부탁했습니다. 다행히 할아버지는 선뜻 들어주시더군요. 아! 제가 벌새를 보다니요. 그것도 보문산에서요.



보문산은 예전엔 산에 보물이 묻혀 있다해서 보물산으로 불렸습니다. 맞습니다. 보문산은 대전시민들에겐 보물입니다. 숨을 쉬게 해주는 허파역할을 하니까요. 대전 아쿠아리움을 볼 때마다 마음이 언짢아집니다. 막대한 돈을 들여 지었지만 방문객이 별로 없거든요. 산을 파헤치고 뭉개면서 이런저런 건물들이 마구 들어섭니다. 지난 16일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설치 조정협의회는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고 합니다. 설악산 케이블카는 개발과 환경 보호라는 찬반 입장차가 첨예한 논쟁거리입니다. 개발을 전혀 안하면서 살 수는 없지만 이젠 환경 보호도 생각해야 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개발논리가 앞서는 게 현실이지요. 환경은 한번 훼손되면 복구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알다시피 시화호, 새만금 간척 사업 그리고 '단군 이래 최대의 사기극' 4대강 사업은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갔습니다. 결론은 환경 파괴라는 오명만 얻고 말았습니다.

오래 전 정선 가리왕산에 올랐던 기억을 잊지 못합니다. 울창한 활엽수림이 장관이었습니다. 거기도 동계올림픽 스키장 건설로 오래된 나무들이 다 베어져 시뻘건 황토가 드러나 볼썽사나워졌잖습니까. 올림픽 한 번 치르자고 소중한 우리 산이 순식간에 황폐화됐습니다. 그렇다고 올림픽 부대시설이 제대로 쓰여지는 것도 아닌 것 같고요. 저희 집에선 보문산이 보입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먼저 보문산과 눈을 맞춥니다. 하루를 그렇게 시작합니다. 산은 저의 안식처입니다. 문득 곤돌라가 윙 쇳소리를 내며 보문산을 오르내리는 걸 상상해 봅니다. 그러면 새들이 떠나겠지요. 나무들은 온전할까요? 숲과 더불어 살고 싶습니다. 당신은 물질과 정신 중 무엇을 택하시겠습니까?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