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프리즘

[프리즘] 기운은 밝음에서 온다

임숙빈 을지대 간호대학장

신가람 기자

신가람 기자

  • 승인 2021-03-16 08:20
을지대 간호대학장 임숙빈
임숙빈 을지대 간호대학장
지인으로부터 책 한 권을 선물 받았다. 유리 새의 눈동자가 인상적인 파란색 표지에 이끌려 머리맡에 두고 며칠 감상하다가 주말을 이용해 읽기 시작했다. 시력이 급격히 나빠진 이후로 업무와 관련되지 않은 책을 잡은 게 얼마 만인가 싶었다. 책은 흥미로웠고, 시력도 마음 따라 변하는지 크게 피로감을 느끼지 못한 채 한달음에 다 읽을 수 있었다.

책의 줄거리는 어느 사찰과 사하촌을 배경으로 나름의 사연을 지니고 다양한 특성을 드러내는 인물들의 이야기로 전개됐다. 그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J는 단란한 가정이라는 보호막 속에서 평온하게 살다가 말기 암 수술을 받고 병원에 있는 동안 파산과 함께 사라져버린 남편에 대한 원망과 허망함 속에 아들마저 군대에 가게 되어 심신이 무너져버린 상태였다.

항암치료 후 기력이 약해질 대로 약해진 채 공양간에서 일을 도우며 사찰에 머무는데, 너무 쇠약해진 탓에 계단을 오를 때면 기어야 할 정도로 힘들게 지내다가 한약으로 기력을 돋우라는 동료에게 이끌려 한의원에 간다. 하지만 약도 쓸 수 없는 상태라며 침만 놓아주고 하루에 10m씩 늘여가며 열흘만 산에 올라가고 오라는 처방을 받아 온다.



나름대로 발걸음 처방을 좋은 의미로 받아들이고 매일매일 온 힘을 다해 목표를 이루던 날, 숲에서 쉬고 있던 J에게 다가온 스님은 산꼭대기까지 올라가자고 제안한다. 여기까지 오는데도 죽는 줄 알았다는 J의 호소를 단호하게 자르고 지팡이를 쥐여주며 앞장서는 스님을 따르던 J는 사람의 기운은 어디에서 오느냐고 묻는다. 잠깐의 망설임도 없이 스님은 "밝음에서 오지. 어두우면 에너지가 안 생기지, 환해야 에너지가 나지"라고 답했다.

J가 어쨌거나 기운이 없어 죽겠다는 말을 하자, 기운이 없어 죽겠다는 말이 기운을 다 삼켜버린다며 환한 얼굴로 스님이 쳐다보자 J는 "기운이 있어 살겠어요"라고 말을 바꾼다. 어렵지 않았다. 반대로 말하면 되는 일이었다.

그러자 놀랍게도 생각 없이 발걸음에만 집중하면서 정상에 오를 수 있었고, 이후 기운을 차리기 시작한 J는 홀로서기의 단단한 삶을 찾아간다는 이야기였다.

소설 속의 이야기이니까 기적처럼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긍정성이 역경을 딛고 일어나게 할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성취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사람은 기분이 좋을 때 문제해결도 더 잘하고 집중력과 기억력도 향상되며 생각도 더욱 유연하게 할 수 있어서 보다 진취적이고 도전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이는 마음의 근력이라고 하는 회복 탄력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그 잠재력은 사람마다 각기 다르다고 한다. 그래서 회복 탄력성이 높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행복하게 산다는 것이다.

이쯤에서 중요하게 생각되는 점은 어떻게 하면 긍정성을 높일 수 있느냐는 것이다. 학자들은 자기에게 일어나는 일상의 크고 작은 일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습관을 기르라고 한다.

습관은 어떤 행위를 오랫동안 반복하는 과정에 저절로 익숙해진 행동방식으로, 몸이 익혀버려 굳이 따지고 생각해볼 것도 없이 나오는 반응양식이기 때문이리라.

매사 선선하게 받아들이고, 좋게 말하고, 웃으며 이겨내자. 부정적인 생각이 들면 휙 돌려 바꾸어 말해보자. 이런 행동이 습관화되면 뇌의 긍정적 정보처리 루트도 더욱 활성화되며 선순환을 이룰 것이다.

자리를 옮긴 영산홍 나무가 이른 봄볕에 이제야 기운을 차렸는지 칙칙하던 잎이 푸르러지면서 꽃망울마다 잔뜩 부풀리고 있다. 아, 새로운 시작이다, 약동하는 생명력이다.

봄이 오니 기운이 난다고 외쳐보자. 봄 노래라도 목청껏 불러보자, 코로나로 인한 길고 긴 제한이 나를 삼키는 어둠이 되지 않도록 마음의 빛을 환히 밝혀보자. / 임숙빈 을지대 간호대학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