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행정
  • 대전

대전시 공공교통 통합시스템 'MaaS' 도입시기 맞춰 대중교통 정기권 도입하나

필요성 지속 언급되며 대전세종연구원에 용역 의뢰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두가지 도입한 도시 사례없어
교통비 높을수록 구매 의향 커... 무제한 정기권 선호
대전시 내년 상반기께 정기권 도입 관련 발표 예고

이해미 기자

이해미 기자

  • 승인 2021-10-21 17:27
  • 수정 2021-10-22 18:40

신문게재 2021-10-22 2면

대전시가 2022년 대전교통공사 설립과 향후 공공교통 통합시스템인 'MaaS'(Mobility as a Service) 개통 시점과 맞물려 대중교통 정기권 도입을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용객 요금 부담 완화 차원에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대중교통 요금체계를 대폭 수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도입 시기는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다.

대전세종연구원은 최근 정책연구 '대중교통 정기권 도입방안(이범규 혁신공간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을 발표했다. 이 정책연구는 대전시가 MaaS 도입 이전부터 정기권 필요성을 절감하고 대세연에 연구용역을 의뢰한 결과다.



정책연구에서는 대전시 정기권 도입은 도시철도와 시내버스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정기권 카드 유형은 무제한권으로 1개월 도입 후 모니터링을 통해 다양하게 확대하는 것이 좋다고 분석했다. 정기권 요금은 5만5000원에서 6만 원 수준 책정이 무난할 것으로 봤다. 다만 도입 시기는 세부 추진계획 수립과 대중교통 요금인상을 고려해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2023년 상반기 개시할 수 있다고 봤다. 충청권 광역대중교통 통합시스템 구축 사업과 함께 추진하는 게 효율적이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국내에서는 서울과 부산, 전주가 이미 대중교통 정기권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 서울은 2004년 국내 최초 도시철도 정기권을 도입했고 거리비례용 14종으로 구성했다. 부산은 2007년 도시철도에 도입해 1일권, 7일권, 1개월 권을 발행한다. 전주는 2020년 전국 최초 시내버스 무제한 정기권 요금제를 도입했다.

대주교통 정기권 사용 교통수단 범위
대주교통 정기권 사용 교통수단 범위
이범규 선임연구위원은 정책연구에서 "국내에서 도시철도와 시내버스 양 수단에 정기권을 도입한 도시는 없다. 국내 최초 전체 수단에 정기권을 도입하는 교통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전에서 월 7만 원 이상의 대중교통요금을 지불하는 이용객은 1만 3000명으로 정기권 도입을 통해 요금부담을 완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그러나 2019년 대전시 대중교통 이용객의 70%는 월평균 요금이 1만 원 이하로 적고, 상위 5% 이용객의 월평균 요금은 6만 원 이상으로 높았다. 향후 정기권을 도입한다면 적절한 금액을 산정하는 것이 필요할 전망이다.

정기권 도입과 관련해 대중교통 이용객들은 횟수 제한이 있는 정기권보다는 무제한 정기권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또 요금 지불액이 많을수록 정기권 구매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5만원 이용자는 52.5%, 6만원 이용자는 77.4%, 7만원 이용자는 89.5% 의향을 보였다.

대전시 관계자는 "최근 정책연구자료를 받아봤고 자체 토의를 한차례 진행했다. 현재는 자료를 수집한 수준에 불과한데, 향후 MaaS와 어떻게 맞물려 갈 것인지, 환승 체제와 기존 교통카드와의 연결 등 복잡한 문제를 풀어야 한다"며 "내년 상반기에는 정기권 도입과 관련해 발표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전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하는 MaaS는 대중교통 5종을 통합적으로 지원해 환승 경로부터 요금 할인까지 연계하는 게 핵심으로, 한 달 최대 5만 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