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교육
  • 사건/사고

보문산 동굴 굴착흔적 또 나와… 바위에 구멍과 임도

1948년 위성사진 특이지점 탐사서 굴착흔
바위 구멍 착암기 흔적 여럿·임도 조성도
일제 전쟁 방공호 또는 채석장 조사 필요

임병안 기자

임병안 기자

  • 승인 2024-05-01 17:38

신문게재 2024-05-02 1면

동굴123
대전 보문산 문화동지점에서 새롭게 발견된 착굴 흔적과 바위 모습. 바위에 구멍을 낸 흔적과 평지가 조성된 바위 모습. (사진=임병안 기자)
대전에서 일제강점기 방공호 성격의 동굴이 잇달아 발견되는 가운데, 1948년 보문산 항공사진 상 특이 지점을 조사하는 중에 바위를 굴착한 흔적이 발견됐다. 바위에 구멍을 낼 때 쓰이는 착암기 자국이 곳곳에 남아 있고, 꽤 넓은 앞마당과 임도가 조성된 것을 보아 태평양전쟁 말기 방공호 가능성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일 중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중구 문화동 한밭도서관에 가까운 보문산 중턱에서 굴착 흔적을 여러 건 발견했다. 해당 지점은 1948년 항공 사진에서 보문산 높은 지점까지 임도가 개척되고, 길 끝에 모종의 공사 흔적이 보이는 곳으로 지금의 위성사진과 비교해 장소를 특정한 후 탐사했다. 여러 차례 현장조사를 통해 흙과 낙엽으로 경사진 주변 지형과 달리 바위가 수직으로 노출된 장소를 발견했고, 해당 암반에서 최소 5개의 굴착흔을 찾았다. 하나는 바위에 구멍을 뚫은 자국인데 너비가 동전 크기였고, 나머지 네 개는 구멍을 낸 곳에 바위가 떨어져 반원형으로 깎인 표면이 드러난 형태다. 풍화작용 흔적으로는 여겨지지 않았고, 석탄을 캘 때 쓰이는 착암기로 구멍을 내어 바위를 깨트리고 남은 흔적으로 추정된다. 앞서 호동과 석교동의 일제강점기 방공호 추정 동굴 안에서도 동전 너비의 착암기 구멍이 발견되었고, 일부는 발파 때 쓰는 다이너마이트 화약 구멍으로도 추정된 바 있다. 또 흙이 무너져 토사로 입구가 막힌 경우도 있었는데, 이번에 발견된 지점도 동굴 조성작업이 이뤄져 실존하나 입구까지 토사 쌓인 상황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평평한 앞마당에 꽤 넓게 펼쳐졌고, 임도가 연결돼 있으며 물을 마실 수 있는 샘터를 함께 발견했다. 차량이 통행할 너비의 임도는 남서쪽으로 200m쯤 이어지는데 석축으로 정성껏 쌓았으나, 산 아래로 이어지는 구간은 유실되었는지 보이지 않았다. 또 돌을 쌓아 흙이 무너지는 것을 막은 오목한 샘터는 지금도 바닥이 촉촉하게 젖어 있고, 그 주변에는 둘레 3m 너비의 벚나무 3그루가 자라고 있다.

인근 주민들 탐문에서 이곳에 동굴이 존재했다는 증언이나 목격담은 수집되지 않았고, 채석장이 운영된 기억도 없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대전 몇 곳에 채석장 흔적은 남아 있는데 동구 세천체육공원 부지나 중구 침산동처럼 철도변이거나, 평지에서 멀지 않은 야산에 있었다.

1948년 항공사진_edited
1948년 보문산 항공사진에 산 중턱까지 개척된 임도와 공사 이뤄진 모습이 보인다. (사진=대전시청 공간정보포털)
이번에 발견된 장소는, 일제강점기 일본군이 주둔한 서대전역 일대에서 보문산까지 가장 가깝게 도착할 수 있는 지점이면서 서대전 일원을 한눈에 조망하는 전략적 위치다. 앞서 일제가 태평양전쟁에 대비해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12개의 동굴이 발견됐고 그중 9개가 보문산에 몰려 있다.

조건 동국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현장에 남은 흔적만으로는 방공호이었을지 채석장이었을지 판단하기 어려워 보인다"라며 "다만, 더 많은 방공호를 일제가 대전에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체계적인 조사와 주민 증언이 계속 수집돼야 한다"라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