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과학
  • 대전정부청사

산림청, 산사태 골든타임 확보 & 예측 사각지대 해소로 인명피해 최소화

2024 산사태 방지대책 발표
통합관리, 산림과학 활용 등
"피해 최소화에 총력 대응"

송익준 기자

송익준 기자

  • 승인 2024-05-15 09:40
사진3_2024 산사태방지 대책 발표
[출처=산림청]
산림청이 산사태 위험사면 통합·관리를 통한 예측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기존 2단계 예측정보를 3단계로 세분화해 주민대피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등 '2024 산사태 방지대책'을 내놨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14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올해 새로운 산사태 방지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방지대책은 디지털 기반 범부처 위험사면 통합관리 체계 구축, 산림과학 기반으로 주민대피시간 추가 확보, 관측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산사태 예측력 향상, 산사태 취약지역 확대와 위험요소 사전예방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충청을 비롯한 전국의 산사태 취약지역은 증가 추세다. 2023년 기준 대전은 산사태 취약지역이 515곳으로 2019년 대비 6곳이 늘었다. 세종(99곳)은 17곳, 충남(1720곳)은 134곳, 충북(1969곳)도 202곳으로 취약지역이 늘어난 상황이다.



방지대책을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행정안전부(급경사지), 국토교통부(도로사면), 농림축산식품부(농지), 산업통상자원부(발전시설), 문화재청(문화재) 등 각 부처의 위험사면 정보를 '디지털 사면통합 산사태 정보시스템'으로 통합해 예측 사각지대를 해소한다.

또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산사태 예측정보' 단계를 현 2단계(주의보·경보)에서 3단계(주의보·예비경보·경보)로 세분화해 주민대피 시간을 약 1시간 가량 추가 확보한다. 문자메시지로 제공되던 예측정보를 카카오톡으로도 전송해 더욱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이다.

사진4_전국산사태 방지 관계관 회의
[출처=산림청]
다음은 평지 기상과 풍속은 최대 3배, 강수량은 최대 2배까지 차이가 나는 산악기상 정보 수집 강화를 위해 전국 480개소에 설치된 산악기상관측장비를 올해 말까지 496개소로 확충해 산사태 예측정확도를 향상시킬 예정이다. 산림 계곡의 형상과 그 계곡을 흐르는 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대응하기 위해 산림수계 수치지도와 유량관측망도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구축한다.

산사태 취약지역을 생활권 중심으로 확대하고 제도개선을 통해 위험요소를 사전 차단한다. 산사태취약지역은 연 2회 이상 현장점검·안전조치, 예방사업 우선실시 등 집중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2만9000개소인 산사태 취약지역을 장기적으로 확대해 예방체계를 강화하고 산사태취약지역에서 재해 예방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예외적으로 산지전용을 허용해 위험요소를 사전에 차단한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위험사면 통합관리, 재난관리자원 공유, 산사태 우려지역 합동점검 등 범부처 협업을 강화해 산사태 피해 최소화에 총력 대응할 것"이라며 "태풍·집중호우 등 위험시기에 긴급재난 알림을 받으면 주저 없이 대피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