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행정
  • 세종

'금강 세종보' 6월 가동...'환경단체 VS 세종시' 대립각 심화

세종보 철거 요구 시민사회, 4월 말부터 금강 내 무기한 천막 농성 돌입
전국 환경단체와 연대, 5월 16일까지 연이은 기자회견으로 규탄 성명
최 시장, 6월 세종보 재가동 의지 굳건, 댐과 다른 성격..."금강을 시민에게 돌려줘야"

이희택 기자

이희택 기자

  • 승인 2024-05-16 10:41
  • 수정 2024-05-16 13:40
IMG_7772
세종시 첫마을 세종보 인근에 설치된 무기한 천막 농성장 모습. 사진=세종시민사회단체 제공.
금강 세종보 가동이 오는 6월을 예고하면서, 환경부·세종시와 환경단체 간 첨예한 대립각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세종보 철거를 원하는 지역 시민사회는 5월 8일 보람동 시청 앞에서 "좀비보 가동해 금강을 죽이려 한다"는 주장과 함께 세종시를 규탄한 데 이어, 보철거를위한 금강·낙동강·영산강 시민행동은 다음 날인 9일 오전 세종보 앞에 설치된 천막농성장에서 천주교 거리미사 봉헌을 통해 "하느님 창조세계를 파괴하는 행위"란 비판 성명을 냈다. 낙동강 네트워크는 5월 16일 금강의 천막 농성장을 찾아 지지 및 연대 의지를 표명하며 힘을 실었다.

이와 달리 세종보 가동과 금강의 친수공간 활용에 대한 최민호 시장의 입장은 확고하다.



확대간부회의2 (2)
최 시장은 금강 세종보 재가동 필요성을 분명히 하고 있다. 사진은 간부회의 모습. 사진=세종시 제공.
최 시장의 관점은 '과거 소금 뱃길로 활용된 금강에 왜 물이 없는가'에서 출발한다.

그는 "금강은 (과거) 물이 없었던 곳이 아니다. 바로 대청댐이 들어서면서다. 이전엔 유속이 있어 강바닥을 훑고 갔으나 지금은 그렇지 못해 자꾸 흙이 쌓인다"며 "준설을 해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2023년 홍수처럼) 강이 범람할 수 있다. 오송 궁평 지하차도 참사도 준설이 평소 안된 문제에서 비롯했다"는 견해를 내비쳤다.

노무현 전 정부 당시도 이 점을 감안, 세종보를 만든 것이란 부연 설명도 이어갔다. 최 시장은 "세종보는 댐이 아니다. 갈수기엔 가두고, 홍수기엔 열어 자연성을 고려한 조절이 가능하다는 데서 차이가 있다"며 "노무현 전 정부 당시 (시민단체가 제기하는) 환경 문제를 생각 안 하고 했겠는가"라고 말했다.

해외 도시 사례에 빗대, 도시 사이즈가 수량에 비례한다는 주장도 이어갔다.

그는 "인간의 기술로 물은 못 만들어낸다. 전 세계적으로 큰 도시일수록 큰 강이 있다. 수량 확보가 얼마나 중요한 지 모른다. 물의 고마움을 잘 알고 있다"며 "세종시는 금강변의 새로운 신도시다. 도시 성장을 떠나 호수공원과 농업 용수에 쓸 물도 필요하다. 지하공을 자꾸 파면, 나중에 씽크홀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세종보는 세종보 기능대로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보 활용을 전제로 '자연성 회복'과 '수질 극복' 문제에도 능동적 대응을 해가겠다는 뜻도 전했다. 최 시장은 "금강을 시민들에게 돌려드리고자 한다. 주변을 공원으로 만들고, 대평동 종합체육시설과 연계한 다양한 수상 스포츠 활성화도 도모하겠다"고 시사했다.

이에 대해 낙동강 네트워크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세종보 재가동 기도를 규탄하면서, "금강이 살아야 낙동강도 산다"는 입장으로 맞섰다.

이들 단체는 "세종보는 2018년부터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2021년 1월 국가물관리위원회는 세종보 철거를 결정했고 세종보는 철거 1순위 보"라며 "세종보는 그동안 재자연화의 효과를 적나라하게 보여줬다. 모든 수문이 닫히면, 4대강은 댐 형태의 강으로 고착화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금강은 4대강 싸움의 최후의 보루이자 교두보와 같은 지점에 있다. 재가동을 반드시 막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앞서 김대건 베드로 위원장 신부는 "우리를 대신해서 현장에서 드러나지 않게 활동하시는 분들이 있기에 인류의 폭망 속도가 그나마 늦춰지고 있는 것"이라면서 "4대강 사업으로 인해 막혔던 세종보가 개방된 뒤에 자연이 회복됐는데, 이걸 다시 막는 것을 두고만 볼 수 없어서 이렇게 거리 미사에 나섰다"고 말했다.

임도훈 시민행동 간사(대전충남녹색연합 팀장)는 "지난 정부에서 어렵게 확정된 세종보 해체 결정인데, 정권이 바뀌었다고 손바닥 뒤집듯이 뒤집은 현 정부에 대해 행정소송, 환경부 면담 신청, 환경부장관에게 입장문 전달 등 모든 수단을 다 동원해왔다"면서 "그래도 소통이 되지 않아 마지막 수단으로 무기한 농성에 돌입한 것"이라고 강변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