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과학
  • 지역경제

'고물가 여파' 올 1분기 실질소득 7년 만에 최대 낙폭

월 평균 소득 512만2000원 전년比 1.4% 증가
물가인상 반영한 가계 실질소득은 1.6% 줄어
소득 2~4분위 중산층 5집 중 1집은 적자살림

김흥수 기자

김흥수 기자

  • 승인 2024-05-26 11:59
GYH2024052300060004400_P4
고물가 여파로 올해 1분기 가계 실질소득이 7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또한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가량은 번 돈보다 쓴 돈이 많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구당(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 월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 증가했다. 가계소득은 3개 분기 연속 증가했지만, 증가 폭은 전분기(3.9%)보다 크게 둔화했다.

월평균 소득 증가에도 실질 소득은 오히려 1.6% 감소했다. 물가 인상분만큼 소득이 늘지 않았기 때문으로, 가계소득이 실질적으로 마이너스가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1분기 기준 2021년(-1.0%) 이후 3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으로 2017년 1분기(-2.5%) 이후 7년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소득 격차는 10배에 달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각각 115만7000원인 반면,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는 1125만8000원으로 집계됐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3.0% 증가했으며, 비소비지출은 이자 비용 증가 등 영향으로 1.2% 늘어난 107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고물가와 근로소득 감소로 1분기 중산층 5가구 중 1가구가량은 번 돈보다 쓴 돈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년 전보다 2.2%포인트 증가한 18.2%에 달했다.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17.1%였고, 상위 60~80%인 2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도 28.9%였다.

적자 가구 비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을 뜻한다.

이처럼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가량이 소비 여력보다 더 많은 돈을 쓴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 비율은 26.8%로 1년 전(26.7%)보다 0.1%포인트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중산층 적자 가구 증가의 배경에는 고금리·고물가의 장기화와 소득이 부진했기 때문"이라며 "높은 물가와 금리가 계속되면서 가계의 소비와 이자 비용 등 지출은 증가했지만, 소득이 이를 상쇄할 만큼 늘지 못하면서 적자가 확대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