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사설

[사설] '우주산업 삼각 클러스터' 완성 총력을

  • 승인 2024-05-27 17:59

신문게재 2024-05-28 19면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미래를 책임질 우주항공청이 27일 경남 사천 청사에서 업무를 시작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인 2022년 '5대 우주 강국' 진입을 목표로 우주항공청 설립을 발표한 지 2년 만이다. 우주항공청 개청에 이르기까지 입지 선정 논란 등 난관도 적지 않았다. 우주항공 연구기관과 기업, 정부 외청이 집적된 대전에 우주항공청을 두는 것이 타당하다는 여론이 일었으나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 체제'로 육성하겠다는 정부 방안이 확정되면서 개청에 이르게 됐다.

정부가 3월 발표한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 체제는 대전의 연구·인재특구, 경남의 위성특구, 전남의 발사체특구가 각각 관련 인프라 구축과 생태계를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우주항공청은 흩어져 있는 정책·연구개발(R&D) 등 관련 사업을 총괄하게 된다. 우주항공청 개청과 맞물려 지역정치권을 중심으로 R&D 기능을 수행할 연구개발본부를 대전에 두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우주항공은 최첨단 과학기술이 집약된 대표적인 미래성장동력 산업이다. 미래 고부가가치 수출 분야이자 방위와 안보의 중요한 축으로 작용하는 산업이다. 최근 세계경제포럼과 맥킨지 컨설팅에 따르면 전 세계 우주경제 규모는 지난해 800조원에서 2035년 23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우주항공청이 첫발을 내디뎠지만 한국의 우주기술은 여전히 낮고, 세계 우주항공 시장에서 점유율은 1%대에 머무르고 있다.

정부는 2045년까지 우주항공산업 매출을 400조원 이상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혁신적이고 과감한 투자 없인 달성하기 힘든 목표다. 우주항공청 출범을 계기로 우주개발 예산의 대폭적인 확충과 관련 산업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대전의 연구·인재특구 등 우주항공 산업을 떠받칠 '삼각 클러스터 체제'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 정부의 확고한 전략은 세계적인 우주항공 무한경쟁을 뚫고 선도국으로 가는 필수 요건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