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행정
  • 대전

대전시, '글로벌 양자경제 중심도시' 초석 다졌다

KAIST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사업 선정, 국비 234억원 확보
국내 최대 양자전용 설비 구축, 국가 퀀텀 플랫폼 지정 교두보 마련

이상문 기자

이상문 기자

  • 승인 2024-05-27 17:29
  • 수정 2024-05-27 17:56

신문게재 2024-05-28 1면

20240527-개방형 양자팹 유치 브리핑
장호종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이 27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모 개방형 양자공정(팹) 인프라 구축 사업 선정 관련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대전시가 미래 세계시장 기술패권이 달린 핵심 전략기술인 양자산업 육성을 위한 전국 최고 인프라를 보유하는 데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모한 '개방형 양자공정(팹)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선정된 것이다.

대전시는 이번 쾌거를 모멘텀으로 관련 산업의 연구개발과 인프라 구축 및 인력 육성 등을 통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양자산업 전초기지로 발돋움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장호종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은 27일 기자 브리핑에서 정부 공모사업 선정 사실을 전했다.

장 부시장은 "양자과학기술은 미래 기술 패권을 좌우할 핵심 전략기술 분야로, 경제는 물론 안보에 이르기까지 사회 전반에 걸쳐 파급 효과가 매우 큰 분야"라면서 "이번 사업은 양자산업 생태계 구축이 핵심으로 대전이 양자산업 육성의 최적지라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 시켜줬다. 대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앞으로 내실 있는 계획을 세워 '신(新)양자시대'의 중심 도시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양자기술은 매우 작은 입자들, 예를 들어 전자나 광자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설명하는 양자역학적 특성을 컴퓨팅, 통신, 센서 등에 접목하는 기술이다.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 사업'은 양자 산업화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필수 인프라 양자 전용팹을 구축해 전문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고 공정 개발과 인력양성 등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이다.

국내 최대 양자 전용 설비가 구축되는데, 높은 수준의 공정 환경과 사용자 중심 개방형 운영이 핵심이다. 이번 사업은 2024년부터 2031년까지 8년간 추진되며, 2027년까지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2028년부터 본격적인 양자공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국비 234억 원, 시비 200억 원, 민간 부담금 17억 원 등 총 451억 원이 투입된다. 공모에 선정된 KAIST 미래융합소자동 내에 있는 기존 팹 시설 외에 인접부지에 지하 1층, 지상 2층 총 2500㎡ 규모의 양자팹 전용건물을 증축한다. 국내 최대 규모의 차세대 양자팹 공간 및 시설이 구축되면 정부출연연, 대학, 국내외 기업, 해외 기관 등이 공동 연구할 수 있는 연구 허브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이균민 KAIST 부총장은 "개방형 양자팹 구축을 기반으로 양자 기술 개발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최선도 양자기술 교육과 선도기업 협업을 통한 시장 선점, 귝내외 기업 유치, 해외 석학 연구자 유치 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대전시 그동안 양자산업 육성을 위해 ▲대덕 퀀텀 밸리 조성 업무협약(MOU) 체결 ▲전국 최초 양자 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 제정 ▲카이스트 양자대학원 지원 ▲양자팹, 양자테스트베드 등 핵심 인프라 유치 ▲양자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등을 추진해 왔다.

이번 양자팹 사업을 바탕으로 내년에는 국가 양자 퀀텀 플랫폼(대덕 양자클러스터) 구축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장 부시장은 "현재 양자에 대한 중장기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 원천을 가진 곳은 국내에서 대전이 유일하다"면서 "2025년 양자퀀텀 플랫폼 공모에 선정돼 양자산업 주도권을 선점하고 대전이 '글로벌 양자 경제 중심도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