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대전미술 아카이브

[대전미술 아카이브] 44-예술가와 가족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정바름 기자

정바름 기자

  • 승인 2024-05-29 17:50

신문게재 2024-05-30 19면

clip20240529093339
미술관의 가장 행복한 계절은 봄, 그중에서도 단연 5월 이른바 '가정의 달'이다. 단순한 전시 관람을 넘어 다양한 미술관 활동을 가족들이 함께 즐기기 때문이다. 대전시립미술관의 <예술가와 가족>(2010)은 한국 근현대미술 속에 나타난 '가족'의 모습을 통해 시대적 흐름과 의미를 조망한 전시였다.

당시 서문에서는 "가족은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는 기본적인 사회 집단이다. (중략) 이러한 환경 속에서 관습과 문화를 담당하는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집단이 되고 사회를 존속시키는 기본단위다. (중략) 이번 전시는 근대 초기 양화의 도입과 일제 강점기, 한국전쟁과 전후의 피폐한 현실 속에서 등장하는 가족 그림의 의미를 조망해보고 196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를 거쳐 새롭게 나타나는 가족 그림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라고 기획 의도를 밝힌다.

1부 '가족을 그리다'에서는 배운성, 이동훈, 박수근, 김종영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근대의 '초상화'를 다뤘다. 근대 초기의 양화는 사실주의 기법에 의한 자화상이나 초상화 등의 형태로 전개됐다. 일본에서 양화를 배우고 귀국한 초기의 화가들이 본인의 자화상이나 현실에서 가장 가깝고 친숙한 가족들을 주로 그렸기 때문이다.



2부 '모자상'에서는 성모자상이나 도상적 형식을 원형으로 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했다.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으로 가족이 해체되고 아버지가 부재한 상황 속 가정 내 어머니의 무게 등을 통해 사회상을 반영했다.

3부 '그리움의 초상'은 한국전쟁 이후 한국화단의 변화를 이중섭, 장욱진, 박수근, 최영림의 작품을 통해 살폈다. 격동의 시기에 이별, 죽음, 해체로 민족과 개인이 겪었던 고통과 아픔이 투영된 작품이 주를 이뤘다.

<예술가와 가족>은 예술가들이 그려낸 가족의 모습을 통해 인간을 바라보는 그들의 시각과 진솔함을 새롭게 드러내며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잔잔하고 따스한 여운을 전한 전시로 평가됐다.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