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교육

[대전학교생태전환교육리포트] 특색 없고 학교별 편차 커, 갈 길 먼 대전

6. 대전교육청 생태전환교육 이대론 안된다

임효인 기자

임효인 기자

  • 승인 2024-07-04 16:00
  • 수정 2024-07-06 19:34

신문게재 2024-07-05 8면

"동료 교사들과 이야기했을 때 대전교육에서의 생태전환교육은 담당 교사의 개인기에 달려 있다는 인식이에요." (고등학교 A 교사)

"관련 사업을 신청해 예산을 지원받은 학교에서만 생태전환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초등학교 B 교사)

"학교 밖에 좋은 자연 여건이 있는 학교들이 분명 있는데, 왜 학교 안으로 가져오는지 답답한 부분이 있습니다." (초등학교 C 교감)



대전교육청의 현행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평가다. 기후위기 시대 생태전환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대전교육청의 상황은 녹록지 않다. 학교장의 의지나 전담 교사의 능력에 따라 학교별 차이가 큰 데다 전담 조직 미비로 정책적 한계가 큰 상황이다.

2021년 생태전환교육을 의무화한 '교육기본법' 개정에 이어 2022년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환경교육법)이 개정됐다. 환경교육법 제10조의 2 환경교육의 실시는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장은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환경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전교육청은 2023년부터 의무 환경교육을 하고 있다. 이 교육의 근거가 되는 대전교육청 생태전환교육 기본계획을 살펴본 결과 대전교육청 자체 추진 중인 '초록꿈마당'을 제외하면 특색 있는 사업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clip20240704103929
clip20240704100142
초록꿈마당은 '체험과 실천 중심 생태전환교육'이라는 큰 추진과제에 속하는 사업으로 2024년 현재 24곳을 대상으로 운영된다. 2023년 선정한 초·중·고 16개 학교에 이어 올해 8개 학교를 신규 선정한다. 최초 지원 학교엔 8800만 원을 지원하고 일회성 지원에 그치지 않도록 2~4차 년도까지 연도별 1600만 원씩 지원한다. 체험 중심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해 학교 실정에 맞는 생태전환교육 체험장을 구축·운영하는 사업으로 시행하는 기후위기를 경험할 수 있는 AR·VR존을 조성하거나 재활용 공예실, 체험형 분리수거장, 탄소저감 효과 등을 위한 실내 정원, 텃밭 등을 구축하고 있다.

각 학교의 호응은 좋은 편이나 일부 학교만 혜택을 누린다는 점과 학교 밖 인근 환경을 활용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교내에 한정한다는 점에선 아쉬운 평가가 나오는 대목이다.

clip20240704103052
대전교육청이 자체 추진 중인 초록꿈마당 사업으로 대전의 한 학교에 구축된 수박농장 모습. 대전교육청 제공
clip20240704103816
대전의 한 초등학교 학생들이 초록꿈마당 사업의 이로한으로 친환경 모내기를 하고 있는 모습. 대전교육청 제공
대전교육청은 1교 1특색 생태전환교육 실천과제를 통해 학교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특색 과제를 운영하고 있다. 다만 별도 예산 지원이 없고 학교로 배분되는 자체 예산을 사용해야 해 학교장의 의지와 담당교사의 역량에 따라 학교별 차이가 벌어진다.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연계 생태전환교육도 추진하고 있지만, 그 수준은 미미하다. 연간 예산 300만 원으로 30회 전문가 특강을 진행하며 자체 풀이 아닌 관련 단체를 통해 전문가를 초청하고 있다. 지역사회 유관기관을 통한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마저도 2024년부터 대전시가 대전시환경교육센터 운영 예산을 편성하지 않으면서 센터 폐쇄로 이어져 전년도보다 위축된 상태다.

대전교육청은 2022년부터 환경담당 장학사 1명을 과학직업정보과에 배치해 업무를 추진 중이다. 담당 장학사 홀로 분투하고 있지만 전담 조직이 있는 시도교육청에 비하면 한계는 분명하다. 경남교육청은 과(課) 단위 전담 부서를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교육청, 광주교육청, 인천교육청 등 전담 팀을 운영하는 교육청도 다수다. 충북교육청은 환경교육센터 와우를 통해 환경교육 관련 업무 전반을 추진하고 있다. 2024년 대전교육청의 생태전환교육 예산은 특별교부금 포함 12억 3400만 원이며 전년도 15억 500만 원보다 줄어들었다.

clip20240704103612
경남교육청 우포생태교육원을 방문한 학생들이 연못에서 생물을 채집하고 있다. 임효인 기자
clip20240704103314
경남교육청 소속 우포생태교육원을 찾은 경남지역 학생들. 임효인 기자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실제 교육현장에선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생태전환교육 필요성에 대해선 많은 교사가 공감하고 있지만 환경이 갖춰지지 않으면서 후순위로 밀려나는 형국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교육감의 의지다. 생태전환교육에 앞서고 있는 시도교육청 모두 교육청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규연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전지부 기후정의위원장은 "생태전환교육에 관심 있는 교장, 부장이 있으면 어느 정도 이뤄지는데 그렇지 않으면 아주 최소로 축소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동료 교사들에게 교육청의 지원에 대해 물어본 결과 사업 안내 정보 수준이지 그 외 지원은 없었다고 한다. 오히려 지역 시민단체의 도움을 받는다고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생태전환교육이란 것은 삶 전반에 영향을 미쳐야 변화가 일어나는데, 과학 교과의 일부인 것처럼 다뤄지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중요한 정책이라고 생각한다면 교육청 조직도상 교육 전반에 정책이 반영될 수 있도록 교육정책과에 배치하고 관장하는 팀이나 부서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규연 위원장은 또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다른 일들이 많다 보니 미뤄지는 경향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머리로는 아는데 실천으로 가게 하는 시스템에 대한 고민이 없는 것 같다. 제일 좋은 것은 지역 곳곳에 나가 보고 환경을 접해 보고 이런 게 돼야 할 텐데 안타까운 부분이 있다"고 했다. 임효인 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