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교육
  • 사건/사고

보이스피싱 MZ피해자 늘어…기관 사칭 주의

보이스피싱 피해자 절반가량 20대 이하로 나타나
사회초년생들 노리고 기관 사칭해 겁주는 수법 늘어
"공공기관에서 연락오면 신원과 소속 확인해야"

최화진 기자

최화진 기자

  • 승인 2025-01-05 18:02

신문게재 2025-01-06 6면

PCM20190522000153990_P4
사진=연합뉴스
보이스피싱의 타겟이 스마트폰이 익숙지 않은 60대 이상에서 오히려 스마트폰 사용이 능숙한 20대 이하로 옮겨가고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활발한 사용으로 개인정보 노출에 거리낌이 없지만 사회생활은 부족한 20대 이하 청년·청소년들에게 기관을 사칭해 겁을 주는 수법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3일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대전의 2023년 보이스피싱 피해자 54%가 20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20대 이하 보이스피싱 피해자는 211건으로 전체 917건 중 50대 다음으로 많은 비율이다. 보이스피싱 피해는 2021년에 917건, 2022년에 678건, 2023년에 626건으로 매년 줄고 있지만, 20대 이하 피해자는 2021년 211건에서 2022년 292건, 2023년 343건으로 매년 늘어 연령대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대전만의 현상은 아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0대 이하의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이 2021년 52억 원에서 2023년 231억 원으로 증가했다고 2024년 12월 31일 발표했다. 2021년에는 전체의 3.1%에 불과했던 20대 이하 피해자가 2022년에는 6.4%를 기록하더니 2023년에는 12.0%까지 늘었다.



20대 이하 피해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사회생활 부족이 꼽힌다. 보이스피싱 조직들이 사회초년생을 대상으로 기관을 사칭하는 수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윤 모(26) 씨는 대전지방법원으로부터 등기가 반송됐다는 연락을 받았다. 전화기 건너편 범죄자는 자신을 법원 직원이라고 소개하며 다시 우편을 보낼 테니 주소 등 몇몇 정보확인을 요구했다. 하지만 김 씨는 010으로 시작하는 개인번호로 전화가 온 점을 의심해 해당 기관에 확인해본 후 피해를 면했다.

또, 국제발신 문자형태로 교통 범칙금 통보서라며 알 수 없는 링크를 보내는 스미싱도 늘고 있다. 해당 링크에 접속하면 인증되지 않은 홈페이지에 접속돼 악성코드가 스마트폰에 설치되며 피해자도 모르는 사이에 소액결제 등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이처럼 사회생활이 부족한 사회초년생들에게 기관명을 앞세워 당황하게 만들어 개인정보를 빼내는 수법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20대 이하는 SNS에 개인정보나 사생활을 노출하는 것을 꺼리지 않아 보이스피싱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경찰 관계자는 "20대 이하의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조용히 늘어나고 있다"며 "공공기관은 전화로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전화를 받았다면 상대방의 신원과 소속을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