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목요광장

[목요광장] 볼파크! 중구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길

박종진 여가공간연구소 소장(관광학박사)

심효준 기자

심효준 기자

  • 승인 2025-03-12 15:33

신문게재 2025-03-13 18면

박종진 여가공간연구소장
박종진 여가공간연구소장
공식명칭인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가 3월 5일 공식 개장했다. 대전을 연고지로 하는 한화이글스 야구단은 그동안 KBO의 10개 구단 중 가장 오래된 구장(1964년 개장)을 홈으로 사용해 왔다. 오랜 역사에 대한 자부심도 있었지만, 60여 년의 세월이 흐른 만큼 노후화된 시설 때문에 신축 구장의 필요성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볼파크는 지하 2층~지상 4층, 관람석 2만 7석 규모로 조성됐다. 국내 최초로 좌·우 비대칭 그라운드, 높이 8m 몬스터 월, 복층형 불펜, 국내 최대 전광판(가로 33, 세로 18m) 등을 도입해 메이저리그와 견줄 만큼 야구장 자체의 매력성도 매우 높여 조성됐다. 3년간의 대규모 공사 끝에 완성된 최첨단 야구장인 만큼 한화이글스의 새로운 홈구장이자 대전 시민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지역사회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대전 중구는 원도심으로서 과거 시청, 도청, 법원을 포함한 다양한 행정기관의 이전에 따라 지속적인 과소화 현상이 진행됐다. 과거 야구장마저도 이전을 준비하려 한 적도 있었다. 다행히 지역의 반대와 균형발전 차원에서 야구장을 보완하고 리모델링 하면서 이전하지 않고 사용해왔다.

그러다 대전 야구의 부흥이 오기 시작했다. 최근 10년 가까이 한화이글스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지만, 충청권의 야구 응원 열기는 여느 때보다도 뜨거웠고, 지속적이었다. 이런 부분이 중계 카메라와 캐스터들의 스피커 역할로 대전 연고의 한화이글스 팬들은 '보살'이라는 별명도 얻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팬심에 비해 경기장의 노후화가 장기화하면서 작년 8월에는 경기 도중 조명 꺼짐 현상에 따라 경기가 중단되기도 했었다. 이에 새로운 볼파크가 더 반갑지 않을 수 없으며, 더욱이 최고 수준의 경기장으로서 돔구장이 아닌 부분을 제외하면, 수요에 걸맞은 야구장으로서 그 기능과 역할이 매우 기대된다.

무엇보다 단순히 야구장의 기능을 넘어 대규모 공연이 가능한 지원시설과 야외 공원이 함께 조성돼 365일 시민과 함께하는 열린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될 계획에 주목된다. 특히 세계 최초 야구장 내 인피니티 풀과 캠핑장의 인기는 말할 필요 없이 많은 인기를 얻을 것으로 생각되며, 대규모 공연 지원 시설과 야외 공원 등을 갖추고 높은 편의성으로 대전의 새로운 랜드마크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 원도심 중구의 성장과 발전에 성장동력으로 역할을 할 수 있길 기대한다. 최근 원도심에는 성심당을 비롯하여 두부두루치기, 칼국수 등 타 지역에서도 방문 열기가 뜨겁다. 여기에 야구장이 즐기는 요소를 가중시킨다면, 원정 팬들의 숙박과 소비가 어우러지는 경제 활성화의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통 야구장의 스낵 및 음식 코너에는 대형 프랜차이즈 위주의 음식점이 입주하고 있으나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는 지역의 대표 맛집도 유치하여 관람객들의 먹거리 만족까지 사로잡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청주에서 열린 한화이글스의 시범경기 예매는 2경기를 예약하는데 각각 3분과 5분 만에 매진이 되었다고 한다.

올해 새롭게 선보이는 볼파크가 중구의 상권 활성화와 지역 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동력으로 새로운 역할을 기대해 본다. 또한 연고 팀인 한화이글스의 좋은 성적도 기대되는 만큼 어느 도시 보다 돋보이는 야구 도시로서의 면모와 이미지 마케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경기장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3차 산업인 서비스 분야의 중흥과 성장은 제한될 수 있고, 경기가 없는 수개월 동안 서비스 산업의 침체는 나타날 수밖에 없다. 즉, 야구경기가 있는 날만 누리는 특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한계를 타개하기 위해 야구를 산업화하여 야구특화거리 지정 등 산업적인 부문의 발전을 꾀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야구용품과 관련된 산업을 육성하여 특구, 기업유치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야구로 대전 중구의 르네상스를 기대한다.

/박종진 여가공간연구소 소장(관광학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